매일신문

빅딜설 돌출…한나라당 갈등 증폭

당직자들 줄사퇴 파장

행정도시 특별법의 국회 통과로 인해 촉발된 한나라당의 내분이 갈수록 커지면서 당내에 위기론도 확산되고 있다. 당 대표가 직접 임명한 당직자들의 사퇴가 줄을 잇고 박근혜(朴槿惠) 대표의 최측근인 박세일(朴世逸) 정책위의장은 의원직 사퇴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으나, 지도부는 "사퇴하려면 하라"고 맞서는 상황. 특히 박 대표가 자신이 반대해온 과거사법 처리를 늦추는 대신에 행정도시 특별법을 합의해준 것이 아니냐는 '빅딜설'이 당내에서 나돌면서 양측의 감정적 골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줄을 잇는 당직사퇴

특별법 통과에 대한 반발은 박 대표 2기체제의 주축을 이루는 당직자들의 사퇴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박세일 정책위의장의 당직사퇴를 시작으로 박재완(朴宰完) 제3, 이혜훈(李惠薰) 제4, 박찬숙(朴贊淑) 제6 정조위원장이 사퇴를 밝혔고 다른 3명의 정조위원장도 사퇴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책위의장을 사퇴한 박세일 의원은 의원직 사퇴 주장 역시 굽히지 않고 있다. 박 의원은 "당이 반쪽 수도이전에 대한 반대당론을 채택하지 않으면 의원직을 사퇴하겠다"고 말한바 있다. 비례대표인 김애실 의원과 박찬숙 의원 등도 의원직 사퇴를 언급했다.

이런 가운데 반대파 의원들은 이번 사태와 관련, 박 대표와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가 물러나야 한다며 인책론을 정면으로 제기하고 나섰다. 이재오 의원은 당지도부를 향해 "양식있는 정치인이라면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도부 강경 일변도

당직 사퇴와 의원직 사퇴 주장에 박근혜 대표 등 지도부는 아랑곳 않는 분위기다. 박 대표는 일부 의원들의 의원직 사퇴 주장에 대해 "의원직 사퇴 의사를 밝혔다면 그렇게 되는 것 아니냐"며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김무성(金武星) 사무총장도 "당과 국가가 부여한 의원직을 사퇴하느니, 마느니 경솔한 언동을 한 사람을 나는 속으로 경멸했다"면서 "그 말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여옥(田麗玉) 대변인은 의원직 사퇴 발언을 한 의원들의 이름까지 거론하면서 "국회의원 사퇴는 애들 장난이 아니다"면서 "발언에 책임지고 당연히 사퇴해야 한다"고 까지 압박했다. 그러나 유승민 대표 비서실장은 "지도부와 반대파 의원들간의 물밑접촉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이상 분란을 방치해서는 곤란하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