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방폐장' 여론 떠보기?

정장식 포항시장의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이하 방폐장) 유치 검토 발언을 두고 속뜻을 묻는 해석이 분분하다.

먼저 정 시장 혼자만의 생각일까 아니면 경북도 · 산업자원부 · 한수원 · 청와대 등 관련 기관과 어느 정도 교감을 거친 것일까.

주위에서는 워낙 예민한 사안인 만큼 정시장이 혼자 생각해 공론화시키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즉 해당 기관 관계자들과 어느 정도 논의를 거친 후 지역 여론을 떠보기 위한 전략(?)이 아니겠느냐는 것.

정 시장 측근들에 따르면 정 시장은 이 문제를 놓고 이의근 경북도지사와 이강철 청와대 사회복지수석 등과 한두 번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 지사와 이 수석은 원전수거물 관리시설 유치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이 최근 국회를 통과, 군산 등 일부 지자체들이 유치에 적극성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경북도만 가만히 앉아 보고 있을 수만은 없었을 것이라는 점도 이를 가능케 한다.

사실 정 시장은 "이 지사와 이 수석이 상당히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엄청난 지역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만큼 포항시민들만 원한다면 유치를 적극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6월 한수원은 포항시에서 방폐장에 관한 주민설명회를 열기로 했지만 시의회 등이 반대하는 바람에 무산됐다.

하지만 당초 설명회 개최 계획에 정 시장이 적극성을 보였다.

정 시장은 방폐장을 유치할 경우 3천억 원의 지원금을 비롯, 매년 100억 원의 처리수수료, 한수원 본사 이전, 지역민 우선 고용 등 명문화된 혜택 이외 한전 본사 이전, 양성자가속기 유치 등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즉 방폐장이 포스코, 포항공대, 포항방사광 가속기, 영일만 신항 건설 등과 연계될 경우 포항시의 최대 목표인 '제2의 영일만 기적'을 이룰 수 있다는 것.

하지만 무엇보다 방폐장은 특별법 개정으로 지역주민 투표 등 지역민이 원해야 하는 만큼 시민들이 어떻게 나올 것이냐가 가장 중요한 문제.

특히 포항시의 경우 지난 92년 청하면 용두리 해안가에 방폐장을 설치하려다 지역민들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 무산된 경험이 있다.

포항·임성남기자 snlim@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