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출발!2006 大入-실전대비 핵심체크

수시모집에서는 일반적으로 수능성적보다는 학생부 성적 비중이 크기 때문에 학생부 성적이 수능모의고사 성적보다 좋으면 적극적으로 수시에 도전을 할 필요가 있다. 재학생의 경우 자신의 성적으로 지원 가능한 대학이 있으면 일단 지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수생은 지원 자격 여부를 미리 확인한 후 자신이 지원할 대학을 결정해야 한다.

▶ 전형요강을 숙지하라

전형 유형과 방법이 각 대학의 특성에 따라 다양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므로 어느 대학 어느 학과가 자신에게 가장 유리할 것인지를 먼저 검토하고 연구해야 한다. 학생부 성적과 면접 외에도 경시대회를 비롯한 각종 대회의 입상경력이나 다양한 특기, 자질, 요건 등에 비중을 두고 신입생을 뽑는 대학이 많으므로 자신에게 유리한 전형 방법을 찾으면 학생부 성적이 좋지 않아도 지원할 수 있는 대학이 많다. 아는 만큼 대학으로 가는 길은 넓게 보인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 전략을 가지고 소신 지원하라

수시는 일단 합격하면 등록 유무에 관계없이 정시모집에는 지원할 수 없으므로 합격하면 다닐 수 있는 대학과 학과에 지원해야 한다. 과거에는 수시를 정시로 가는 길에 덤으로 갖게 되는 지원 기회라 생각하고 가볍게 대처하는 경향이 많았다. 그러나 이제 수시는 특히 재학생의 경우 입시의 절반을 차지하기 때문에 치밀한 전략을 가지고 대비를 해야 한다.

▶ 서로 다른 전형시기를 활용하라

대부분 대학들이 수시1, 2 학기 모집에서 일반 전형과 독자적 기준에 의한 전형을 실시하면서 대학마다 전형시기가 다르다. 자기소개서나 학습계획서는 한 번 작성해 놓으면 여러 대학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양식에 기본 내용은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3∼5개 대학 정도를 선택하여 지원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수능 준비에 최선을 다하라

수시모집은 정시모집에 앞서 가지는 특별한 기회라고 생각해야 한다. 오로지 수시모집에만 몰두하다가 수시에도 실패하고 수능시험도 망치는 수험생들이 많다. 수능성적은 평소 모의고사 성적을 참고하여 그 결과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시에서 당락의 결정적 요인이 되는 논술이나 심층면접은 그 결과를 미리 예측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불확실한 수시에 모든 것을 걸기보다는 최종적으로는 정시로 대학에 간다는 생각을 하고 수능시험 준비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 심층 면접과 논술 준비를 철저히 하라

심층면접은 수시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논술은 수시와 정시 모두 일부 대학에서 시행하며 다른 전형 요소에 비해서 반영 비율은 낮지만 대학에 따라서는 당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난해 수시에서 많은 대학들이 논술과 구술에서 영어 지문을 활용했다. 영어로 질문하고 영어 지문을 해석하도록 요구하는 대학도 있었다. 자연계열 모집단위에서는 수학이나 과학 교과목과 관련된 내용들을 많이 물어본다. 이런 문제들은 평소 각 교과목 공부를 통해서 해결하면 된다. 논술은 틈틈이 본인이 가고자 하는 대학의 논술 요강에 맞추어 기출문제로 쓰는 연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일현(송원학원진학지도실장 ihnyoon@hanmail.net)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