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지역사회에서 논란을 빚어왔던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GIST) 입지 문제가 일단락지어졌다. 전문가들은 이제 DGIST를 성공시키기 위해 지역이 힘을 모으는 방안을 만들자고 지적하고 나섰다.
특히 입지 선정보다도 더 중요한 것이 '국가 R&DB(연구·개발 및 사업화) 체계 내에서 DGIST의 위상을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가'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1970년대 설립된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와 같은 '백화점'식 연구로는 21세기형 첨단연구소로 발전하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 중론이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전지, 미래형 자동차, 지능형 로봇, 디지털TV, 텔레매틱스, 지능형 홈네트워크, 디지털콘텐츠(SW 포함), 바이오 신약 등 정부가 지정한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사업 중 최소한 2, 3개를 DGIST 중점연구 분야로 가져오자고 제안하고 있다. 이래야만 지역발전과 국가발전에 동시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기관으로 DGIST가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된다는 설명이다.
또 '차세대 성장동력 사업'처럼 강력한 국가적 R&DB체제의 지원을 받아야 산업파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도 들고 있다. 대구·경북의 산업 구조조정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지역경제와 국가경제가 함께 풍요로워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대구·경북에 이미 상당한 산업기반을 가진 디스플레이, 디지털TV, 텔레매틱스 등의 분야를 DGIST가 갖고올 수 있다면 일석이조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기존산업의 혁신과 새로운 산업기반의 창출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는 셈이 된다.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이라는 현 참여정부의 국정목표도 이 같은 DGIST의 위상과 방향을 지지하고 있다. 신행정도시 건설로 국가권력의 지방분산을 추진하는 한편 R&D의 지방분권을 추구하고 있지만, 10대 신성장동력사업의 운영기관과 주체는 모두 광역수도권이라고 할 수 있는 서울 주변과 충청권에 몰려 있는 것이 현실이다.
DGIST가 '글로컬리제이션(지방화+세계화)'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건국 이래 최초로 지방의 요청으로 법률로 설립된다는 특징을 감안할 때 '국가적 성장동력 사업의 중추적 역할 수행'이라는 임무의 부여는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지역 전문가들은 "그동안 입지 논쟁에 매몰돼 진짜 중요한 것을 간과한 경향이 있다"면서 "이제는 DGIST 위상을 제대로 세움으로써 DGIST로부터 생겨나는 열매를 대구·경북과 영남의 지역민을 비롯한 전 국민이 누릴 수 있도록 하는데 지역 역량을 총 결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12년 간 가능했던 언어치료사 시험 불가 대법 판결…사이버대 학생들 어떡하나
[속보] 윤 대통령 "모든 게 제 불찰, 진심 어린 사과"
한동훈 "이재명 혐의 잡스럽지만, 영향 크다…생중계해야"
홍준표 "TK 행정통합 주민투표 요구…방해에 불과"
안동시민들 절박한 외침 "지역이 사라진다! 역사속으로 없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