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민단체들 일본과 '단교불사' 천명

"일본, 우경화에 힘입어 역사 왜곡 정당화"

일본의 극우단체가 개정판 중학교 역사·공민 교과서에서 한일 관계를 왜곡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시민단체들과 네티즌들은 일본과 단교를 각오하고라도 강경대응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2001년에 이은 이번 교과서 왜곡 움직임은 최근 더욱 심해지고 있는 우경화바람에 힘입은 것으로 그 목적은 침략 전쟁의 과오를 숨기고, 잘못된 과거를 정당화하려는 것이라고 규탄했다.

◆시민단체 "주권 무시한 처사"=독도향우회 최재익 회장은 "이번 교과서 왜곡은 우리가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탓도 있지만 일본 정부가 우리나라를 주권 국가로 제대로 인정하지 않고 무시한 결과"라고 비난했다.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 양미강 운영위원장은 "일본이 현재의 우경화 경향에 힘입어 점점 더 아시아에 대한 침략 전쟁의 과오를 숨기고 자신의 잘못된 과거를 정당화하려는 방향으로 간다는 것을 암시해 주는 중요한 계기다"라고 지적했다.

민족문제연구소 김민철 연구실장은 "이번 사태는 일본이 겪고 있는 사회·정치적 혼란을 한·일 국가간의 갈등으로 몰아가려는 의미가 크다.

독도를 계속 분쟁지역으로 놔두려는 의도도 깔려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의 윤미향 사무총장도 "교과서에 일부 내용을 누락하고 왜곡하는 것은 일본의 아이들이 역사에 눈멀게 하고 진실을 모르는 바보로 만드는 일이다"고 성토했다.

이에 '한일 우정의 해'라고 강조하며 교과서를 일본에 대해 '이중성'을 비난하는 목소리도 이어져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양순임 회장 "한편으로는 '한일 우정의해'라고 강조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교과서를 왜곡하는 이런 모습은 일본의 '두 얼굴'을 그대로 보여준 것이다"며 "교과서 문제도 독도문제처럼 대응해야 하며 후쇼사 앞에 가서 항의라도 하고 싶은 심정이다"고 흥분했다.

시민단체들은 이러한 대일성토 분위기 속에서도 정부를 비롯한 사회 각계의 강도높은 대응도 주문했다.

유족회의 양미강 운영위원장은 "이번 사안은 교과서에서 무엇을 빼고 덧붙이는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일본의 가치관 문제로 일본이란 나라가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느냐를 말해 주는 문제다"며 "일본의 양심적인 지식인들과 연대해 이번 개악을 적극 막도록 하겠다"고 천명했다.

◆시민·네티즌 "악수 청하고 등에 칼 꽂는 것"=네티즌 'ppy30'는 "'한일 우정의 해'를 강조하는 일본의 우정이 이런 것이냐"며 "악수를 청해놓고 등에다 칼을 꽂는 일본의 행태를 비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일본과 외교 단절을 각오하고서라도 이번 문제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네티즌 'usire7'는 "차라리 일본이랑 외교 단절을 하고 강경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네티즌 'zeros78'는 일본을 '주적'이라고까지 표현하며 "역시 일본은 겉과 속이 달라 겉으로는 평화를 외치지만 속으로는 야욕이 있다"고 지적했다.

네티즌 'brink24'는 "우리 강산, 우리 자원, 우리 민족을 수탈했던 역사를 일본식으로 쓰면 우리가 일제 강점기에 일본부흥을 도왔다는 식으로 써야 한다는 말이냐"며 "생각 있는 지식인들이 일본에는 없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일반 시민들도 차분하면서도 강경한 대응을 주문했다.

대학생 박영현(28)씨는 "일본이 끊임없이 역사 왜곡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우리 정부의 대처가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국제적으로도 일본의 역사왜곡 문제를 알려서 국제 이슈로 만들고 외교적 협상 테이블로 끌고 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