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교통사고 확 줄입시다-(8)소통중심 정책전환 시급

계명대 교수인 김해동(41)씨는 도로를 왜 넓게만 만들려고 하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도로를 넓힐수록 사업비도 많이 들고 과속으로 사고율을 높이는데 당국은 '소통! 소통!'만 내세우고 있다는 것.

김 교수는 "도로 양 방향 가차로는 어김없이 불법 주·정차 차량이 점령해 오히려 사고 위험 및 차량 정체 등을 유발하고 있는데도 단속 없이 도로만 넓히고 있다"며 "특히 아파트단지 주변 도로의 경우 화물차, 관광버스 등 대형 차량이 여기저기 주차돼 있어 사고 위험을 더욱 높이는데도 그냥 방치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제 차량 소통 중심의 무차별적인 도로 확충에서 안전한 도로 중심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경제 논리 및 차량 증가 등의 이유만을 내세워 넓고 잘 닦인 도로 확충에만 치중하다 보니 정작 가장 중요한 안전은 뒷전으로 밀려났다.

신규 도로의 경우 안전도로 위주로 건설하고, 기존 도로도 안전을 최대한 고려해 정비하는 정책 전환이 시급하다.

선진국의 경우 차량 소통 위주의 정책을 시행해오다 10여 년 전부터 소통보다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내세워 교통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은 이면도로의 경우 인도를 만들어 왕복 2차로에서 갑자기 차로가 줄어드는 병목 차로나 곡선, 지그재그 차로를 만들어 속도를 줄일 수밖에 없게 만들거나 도로 축소, 일방통행 및 과속방지턱, 교통섬 등을 확대 설치, 속도를 줄여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고 있다.

계명대 박용진 교수는 "우리나라는 주민 반대나 관리의 어려움이 있지만 이면도로 및 어린이보호구역, 사고 많은 도로부터 굴곡 도로, 과속 및 미끄럼 방지턱 설치, 교차로 가운데를 높게 만드는 등의 안전한 도로를 위한 정책을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시 신경섭 교통정책과장은 "올해 교통안전 1등 도시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교통사고 다발지역 및 위험도로, 어린이보호구역정비 등 40곳에 111억 원을 들여 인프라를 정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사진: 대구시는 지난달 안전한 도로 건설을 위한 대표적인 사업으로 경상감영길(중앙로~시청) 660m 구간에 인도를 설치하고 도로를 'S'형태로 만들었다.김태형기자 thkim21@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