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껏 대구 패션어패럴밸리 사업의 주연배우는 섬유·패션업계가 아니라 대구시였다.
시는 주도적으로 패션어패럴밸리 계획을 입안하고 사실상 홀로 이끌어왔다.
하지만 지난달 말 감사원의 사업 전면 재검토 요구는 주연배우 교체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흥행' 성공을 위해 새 작품은 패션어패럴이라는 단일주제에서 벗어날 것이 확실시된다.
시도 '차라리 홀가분하다'는 속내를 비치고 있다.
대구 도심의 알짜배기땅 '봉무지방산업단지'에 마지막 승부수가 던져지고 있다.
◆"민간 개발자 선정 낙관"
영남대 김승진(섬유패션학부) 교수는 "패션어패럴밸리 사업이 파행을 면치 못한 것은 관(官) 주도 사업방식 때문"이라고 했다.
경제성을 중시하는 민간 중심으로 진행됐다면 현실적 수요에 맞게 일찌감치 사업방향이 변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패션어패럴밸리 사업의 좌초 원인을 행정기관의 사업추진력 과신이라고 분석한다.
감사 때문에 복잡한 법적 절차를 지켜야 했고, 민선체제 '표'까지 의식해야 했던 시가 위기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힘들었다는 것도 덧붙여진다.
때문에 시는 이번 감사원 감사결과 발표를 계기로 사업 추진의 상당 부분을 민간과 함께 진행하기로 했다.
우선 패션어패럴밸리 전체 사업부지를 개발할 주체, 즉 개발자(Developer)를 정한 뒤 이 개발자가 원하는 그림대로 개발한다는 원칙을 굳혔다.
현재 개발자로 나서겠다는 업체가 '여러 개'라고 시는 밝혔다.
더욱이 패션어패럴밸리 감사원 감사결과가 연일 언론에 오르내리면서 "대구에 그런 땅이 있었느냐"는 외지 업체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는 이미 접촉한 업체 외에도 또다른 민간 개발자가 여럿 접촉을 희망하고 있어 개발자 선정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자신하는 상태다.
'올해 내 개발자와 계약, 내년 분양'이 현재 시의 목표다.
◆도심형 첨단 복합단지 유력
기존 패션어패럴밸리 계획은 폐기될 가능성이 높다.
민간 개발자와의 계약 때 시 차원에서 반드시 요구하겠다는 부문은 외국인학교와 섬유패션기능대학 정도다.
이렇게 되면 사실상 계약해지상태인 주거단지도 새 개발자가 맡을 것으로 보인다.
패션어패럴 업체도 물론 입주 가능하다.
시 관계자는 "대구에 적잖은 패션업체가 있고 수도권에서조차 각광받는 브랜드가 10여 개에 이르므로, 개발자와 협의를 거쳐야 하겠지만 패션어패럴 시설을 입주시키는 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럴 경우 패션어패럴밸리는 주거·유통시설에다 첨단기업이 입주한 아파트형 공장 등이 혼재한 복합타운이 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시 추정 평당 평균 60여만 원에 이를 비싼 땅값을 공장만으로는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한편 대구시는 부산 해운대 센텀시티를 벤치마킹 대상의 하나로 올려놓고 있다.
민·관 합작으로 개발되는 센텀시티는 총부지 35만4천58평으로 35만5천130평의 패션어패럴밸리와 거의 규모가 같다.
센텀시티에는 첨단영상벤처업체, 테마파크, 엔터테인먼트시설 등이 들어갈 계획이다.
이와 관련, 산업연구원 장재홍 연구위원은 "패션어패럴밸리 부지는 접근성이 용이한 대구 도심의 땅이므로 현실성이 부족한 패션보다는 다양한 첨단산업을 유치하는 방향으로 선회할 필요가 있다"라고 했다.
경제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