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령 화폭에다 산 하나를 담는다 할 때
그 뉘도 모든 것을 다 옮길 순 없다
이것은 턱없이 작고 저는 너무 크므로.
그러나 그렇더라도 요량 있는 화가라면
필경은 어렵잖이 한 법을 떠올리리
고삐에 우람한 황소 이끌리는 그런 이치!
하여 몇 개의 선, 얼마간의 여백으로도
살아 숨 쉬는 산 홀연히 옮겨 오고
물소리, 솔바람 소리는 덤으로 얹혀서 온다.
조동화 '시론'
세 수의 시조로 쓴 시론(詩論)이다.
시 쓰는 일을 그림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첫 수에서 화폭에 산을 담을 때 재구성을, 둘째 수에서는 요량 있는 화가로서 한 법 즉 '고삐에 우람한 황소 이끌리는 그런 이치'를 터득해야 함을 힘주어 말한다.
그리하여 마침내 몇 개의 선과 얼마간의 여백으로도 산을 숨 쉬게 하고, 덤으로 물소리와 솔바람 소리를 얻는다.
시조로 쓴 시론이지만, 확장해서 생각하면 이것은 곧 인생론이기도 하다.
어떻게 살아야 참다운 삶인지를 은연중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이정환(시조시인)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