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유전개발 사업 불똥 청와대로...

靑도 장관들도 '불길' 알았다

청와대가 유전개발 사업 의혹의 불똥이 튀는 것을 차단하려 나섰지만 '의혹'이 쉽사리 숙지지 않고 있다.

청와대 국정상황실이 지난해 11월 자체 조사하고도 5개월간 침묵했고, 천호선(天皓宣) 청와대 국정상황실장도 서모 행정관으로부터 지난달 말 이 사실을 알고도 19일간 상부에 보고하지 않은 점이 석연찮은 것이다.

◇청와대 해명=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24일 국가정보원이 국정상황실로 보낸 문건까지 공개하며 "청와대에서 의혹을 은폐하거나 그 사안에 대해 개입하려는 시도는 일절 없었다"고 적극 해명했다.

철도공사(전 철도청)가 사업을 포기했고, 감사원 감사가 진행중이고, 민정수석실에서 상황을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국정상황실이 별도 조치를 취할 입장이 아니라고 판단했다는 것.

김 대변인은 "그러나 민정수석실이 그간 추이를 22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에게 종합 보고했고 노 대통령이 즉각 공개를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남는 의문들=국정원은 지난해 11월 9일 '철도청의 유전개발 업체 인수 계획 무산 위기' 정보보고를 청와대 국정상황실과 정책기획수석(현 경제정책수석), 경제보좌관은 물론 재정경제원, 산업자원부, 건설교통부 등 관련부처에도 보고했다.

국정원은 특히 이 보고서에서 부처간 협의를 통해 사업 타당성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따라 관련부처들이 협의했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

하지만 3월 27일 이 문제가 언론에 첫 보도된 이후 1개월가량 당사자들은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

청와대 내 보고 흐름도도 명쾌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천 실장이 지난달 말 이 사안을 파악한 서 행정관으로부터 보고를 받고 19일 동안 상부에 보고하지 않은 이유가 초점이다.

당시 유전사업은 큰 이슈였다.

김만수 대변인에 따르면 지난 18일 수사에 착수한 검찰이 서 행정관에게 사실 확인 전화를 걸어왔고, 서 행정관이 이를 보고하자 그제서야 천 실장은 관련 비서실에 이 같은 사실을 통보했다.

천 실장이 이처럼 내부 보고에 소극적이었던 것은 사이가 각별하고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열린우리당 이광재 의원을 감싸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노 대통령이 22일 민정수석실의 보고 이전에 이 사건을 전혀 몰랐느냐는 것도 의문이다.

뜨거운 이슈가 된 사안이었고 청와대가 검찰수사와 특검 도입 수용 검토 입장까지 정리해 밝힌 마당에 비서진이 여러 정황을 보고하지 않았을 리 없다는 것. 또 만약 보고하지 않았다면 청와대의 국정 현안 관리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