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유전자 기능을 초고속으로 일괄 규명할 수 있는 혁신적인 시스템이 세계 최초로 개발돼 생명공학 및 질병규명에 대한 새 지평이 열렸다.계명대 의과대학 박종구 교수팀은 29일 새로운 형태의 LC형 안티센스 (LC-antisense)를 이용하는 초고속 대용량 유전자 기능분석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수천에서 수만 개 유전자의 기능을 초고속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향후 포스트 게놈(POST-GENOME) 연구 기간을 절반 이상 단축할 수 있는 혁신적인 유전자기능 대량분석 기술이다.또한 분석속도 및 정확성 측면에서 선진국이 보유한 기존 기술보다 약 500배 이상 앞섰다.
박 교수는 이 시스템을 응용, 56개의 간암 성장 관련 유전자를 일괄 규명하는 데 성공했고 또 5종의 주요 인체 암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670종의 유용 유전자를 밝혀냈다.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technology) 5월1일자는 이 연구결과를 커버 스토리로 소개하고 섹션을 통해 별도로 비중 있게 다룰 예정이다.
이 기술을 이용할 경우 20, 30년이 걸릴 것으로 보이는 포스트 게놈 연구완성 기간을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유전자 연구에서 해외 연구진의 분석기법을 답습할 필요가 없게 된다.또 생명 및 의과학 전분야의 국가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고 핵산 안티센스 치료제 개발, 유전자 치료 등의 소재 발굴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는 것이 관련 학계의 평가다.
박 교수는 "첨단 제약산업 발전의 기초인 원천 유전자에 대한 대규모 물질 특허의 확보가 가능해져 2010년도 약 5조 원 규모의 유전자 및 기능 유전체학 시장공략과 향후 연간 210조 원 규모의 핵산의약품 및 유전자 치료제 시장의 주도권을 쥘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부 기초의과학연구(MRC) 프로그램에 따라 계명대와 바이오벤처 (주)웰진과의 산·학·연 연계프로그램을 통해 5년여 만에 결실을 맺었다.
이춘수기자 zapper@imaeil.com, 김교영기자 kimk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