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24일 오후 이남순 한국노총 전 위원장을배임수재 혐의로 긴급체포해 조사중이라고 밝힘으로써 노동운동 단체의 '맏형'을 자처해온 한국노총이 59년 역사상 최대 위기에 처하게 됐다.
이 전 위원장이 한국노총의 여의도 근로자복지센터 건립 과정에서 시공사인 벽산건설의 하청업체로부터 2억여원의 리베이트를 받았다는 부도덕한 혐의로 긴급체포됐기 때문이다.
한국노총은 이로써 전신인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결성(1946년) 이후 59년만에, 한국노총 개칭(1960년) 이후 45년만에 처음으로 위원장급 간부가 비리혐의로 체포되는 최대의 수치도 기록하게 됐다.
또한 한국노총이 서울 여의도 중앙근로자복지센터 신축 관련 의혹이 제기되자시공사로부터 28억원의 발전기금을 받았다고 고해성사했지만 이씨의 개인비리 혐의가 추가로 불거짐으로써 고해성사의 효과도 거품처럼 날아가 버린 셈이 됐다.
이런 점들을 의식한 듯 한국노총 관계자들은 전임 위원장의 긴급체포 소식에 한결같이 참담함을 감추지 못했다.
권오만 사무총장의 개인비리 수사로 시작된 검찰 수사의 칼날이 한국노총 자체를 겨냥하는 조짐을 보였을 때만 해도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위기가 형성됐으나 이씨의 긴급체포 소식에는 관계자들이 말을 잇지 못했다.
한국노총 한 간부는 "이 전 위원장 체포 소식에 더 이상 할 말이 없고 참담할따름"이라며 향후 대응방안 등에 대한 언급조차 피했다.
한국노총은 더욱이 이날 오후 '노조의 도덕성과 재정의 투명성 확보'에 대한 공개 토론회를 열어 심도있는 자기 반성과 혁신 방안을 모색한 자구노력마저도 수포로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크게 우려했다.
획기적인 비리 근절책을 마련해 아무리 크게 외친다 해도 자꾸만 커져가는 조합원과 국민의 실망속에 믿음을 회복하기가 점점 어려워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박준식 한림대 교수가 이날 토론회에서 "노동계가 어떤 방법으로든 부패문제를해결하지 않으면 몰락의 길로 들어설 가능성이 크다"며 "한국노총의 경우는 더욱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지적한 것도 이런 점을 상기시킨 것이다.
한국노총은 특히 검찰수사의 칼끝이 이씨에 이어 다른 간부들을 겨냥할 가능성이 현재로선 높아 보인다는 점에 조직 전체가 위기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