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서울-지방간 장애인 복지수준 3~4배 격차"

전국 각 시·도의 장애인 복지수준을조사한 결과 서울이 가장 복지수준이 높고, 지역별 편차가 매우 크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전국 16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장애인 복지수준을10개 영역 55개 지표에 따라 조사한 결과 서울의 복지 수준이 가장 높았고 충남, 전북, 강원·제주, 경남 등이 그 뒤를 이었다고 24일 밝혔다.

복지수준 종합평가 점수는 서울을 1로 봤을 때 충남 0.73, 전북 0.68, 강원·제주가 각각 0.64, 경남 0.62 등의 순이었다.

또 울산과 전남의 경우 각각 0.51점을 기록해 공동 최하위를 기록했다.

재활서비스 수준도 서울이 1위를 기록했고, 그 다음은 충남과 강원(서울을 기준점 1로 매겼을 때 각각(0.29), 제주(0.25) 등의 순이었으며 나머지 지역은 평균(0.1 963점)에 못 미쳤다.

장애인 복지행정 수준은 서울-제주-경기-전북-충북 순이었으며 교육 수준은 충남-광주-전남-서울-부산 순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특수학교 직업담당 교사의 60%는 전문자격증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애인 등록자 수나 지역별 재정자립도를 감안했을 경우 서울과 전북, 충남, 제주, 강원 지역이 상대적으로 복지수준이 좋은 것으로 분석됐으며 울산과 부산, 대전, 인천, 대구 등은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맹은 설명했다.

또 장애인 1인당 연간 복지예산은 서울이 8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제주 80만원, 울산·충북 49만원, 대전 42만원, 대구 41만원, 광주 40만원이었으며 전남은 9만원으로 서울과 무려 75만원의 차이를 보이며 전국 최하위를 나타냈다.

전체 예산 중 장애인 비율은 충북이 2.1%로 가장 높았고 전북 1.7%, 제주 1.6%, 대전 1.5%, 전남 0.3%, 부산 0.7%의 분포를 보였다.

연맹은 "장애인 비율이나 지자체 재정자립도를 감안할 경우 서울과 지방은 복지수준에 있어 3∼4배의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서울과 지방간 '복지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장애인 우대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