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행담도 의혹 '일파만파'

불공정계약 배경 집중 캐기로

한국도로공사의 '행담도 개발사업' 의혹이 갈수록 불어나고 있다. 도로공사가 사업파트너인 싱가포르 투자회사에게 사업실패시 부담을 전부 떠안는 불공정계약을 해준 것으로 드러나면서 불거진 의혹은 사업 추진과정에서 문정인(文正仁) 대통령 직속 동북아시대위원장과 정찬용(鄭燦龍) 전 청와대 인사수석의 개입 사실이 드러나면서 확대일로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4월말부터 도로공사를 상대로 행담도 개발사업 의혹에 대한 내사를 벌여온 감사원은 최근 감사인력을 20명으로 대폭 늘려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갔다. 감사원은 이 사업과 관련해 제기된 모든 의혹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를 벌인다는 방침이며 특히 불공정 계약이 이유와 배경, 이 과정에서 외압이 없었는지 여부에 대해 감사를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감사원이 밝혀야 할 의혹중 가장 납득할 수 없는 것이 도로공사가 사업파트너인 싱가포르 투자회사인 에콘(ECON)사의 국내 자회사 EKI사에 대해 투자실패에 따른 위험부담을 모두 떠안는 불공정계약을 맺은 것이다. 도로공사는 행담도 개발을 위해 도로공사 10%, EKI 90%의 지분을 갖는 행담도개발(HIDC)을 설립하고 사업실패시 EKI의 지분 90% 전랴을 1억500만달러에 매입해주기로 했다. 이에 따라 EKI는 사업이 성공했을 경우 90% 지분에 따른 개발이득을 챙길 수 있게 사업이 실패해도 손해볼 것은 전혀없는 100% 안전한 투자를 성사시킨 셈이다. 이같은 '이해할 수 없는' 계약에 대해 도공 이사회 내부의 반대가 심했음에도 불구하고 오점록(吳點錄) 전 사장이 밀어부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두번째 의혹으로는 HIDC가 사업추진을 위해 미국에서 발행한 8천300만달러의 채권을 국내 공공기관이 매입해준 배경이다. HIDC의 채권은 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가 6천만달러, 한국교직원공제회가 2천300만달러를 각각 매입했다. 그런데 국내 시중은행이나 외국은행은 지난해 9월 이들 은행애 8천500만달러 규모의 공동대출을 요청했으나 지난 1월 최종단계에서 거부했다. 행당도 개발사업의 성공 가능성이 낮거나 불투명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새롭게 밝혀진 문정인 동북아시대위원장과 정찬용 전 청와대 인사수석의 개입의혹도 밝혀야 할 대목이다. 문 위원장은 지난해 9월 HIDC가 채권 발행을 추진할 당시 '정부지원의향서'를 써준 것으로 확인됐다. 문 위원장은 "서남해안 개발계획(S프로젝트)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해 추천써를 써주었다"고 해명했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