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현충일 제정 50주년을 맞고 있지만 지난 '국민의 정부'에 이어 현'참여 정부'에 이르는 동안 호국 영령이나 그 유가족에 대한 국가의 보살핌은 다소 소홀해진 면이 없지 않았다.
이는'민주 인사'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다 보니 상대적인 현상으로 나타난 게 아닌가 싶다. 우리의 현'민주 질서'는 이들 민주 인사들의 희생을 딛고 성숙된 것이고 앞으로 더욱 진전시켜야 할 국가 과제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민주주의'도 국가가 없으면 그 자체가 성립될 수 없다는 의미에서 볼 때'호국 영령'에 대한 우리의 관심은'민주 인사'에 결코 뒤질 수 없는 개념임을 우리는 다시금 새겨야 한다. 특히 나라의 존망이 걸렸던 6'25참전에 따른 희생은 우리 후손들이 영원히 기억하고 보살핌을 줘야 할 국가적 과제이다.
그런데 과연 우리 정부나 사회가 그 희생자나 유족에게 충분한 보상을 했는가 하는 점에선 회의적이다. 따라서 지금부터라도 우선'호국'의 중요성을 후손들에게 가르치고 정부나 사회는 그들의 '상처'를 보살피는 데 혼신해야 한다.
최근의 국적 포기 논란이 빚어진 것도 그 속을 들여다 보면 호국 정신의 결핍에다 개인주의의 팽배로 압축할 수 있다. 때마침 여권이 보훈병원을 찾고 군에 대한 각종 혜택을 넓히는 등 군심(軍心)이나 보훈 계층에 부쩍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한나라당은 6월 임시 국회를'보훈 국회'로 정하고 각종 '보훈 법안'을 강화한다고 한다. 제발 이게 표(票)를 의식한 정치적 이벤트가 아니길 당부한다.
더욱이 서해(西海)교전 희생자들에 대한 정부의 냉대는 국민의 애국심을 정부 스스로 희석시키는, 세계에 그 유례가 드문'반성 사례'였음을 새겨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