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계인, 원주민과 문화차이 '갈등'

'신 경계인'과 '원주민'들과의 관계는. 사이 좋은 '이웃사촌'들도 많지만 갈등도 있다. 청도 각북면 일대의 마을 곳곳에선 '길 분쟁'이 일고 있었다. 길 분쟁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 때 마을 농로나 길을 내면서 주민들이 나라에 기증했던 2~10평 규모의 자투리 땅에서 비롯됐다. 도시인들이 일부 주민들로부터 자투리 땅까지 매입해 전원주택을 짓고 있기 때문.

동네 주민들은 집 짓는 도시인들에게 길을 남겨달라고 부탁하지만 전원주택 입주민 입장에선 비싼 돈 주고 산 땅을 포기하기란 쉽지 않다. 주민들은 "전후 사정을 잘 몰랐던 도시인들을 탓할 순 없지만 수십 년간 이용했던 마을길이 한 순간에 사라지는 셈이라 서로 사이좋게 지내기는 어렵다"고 했다.

청도군 관계자는 "이사 온 전원주택 입주민이 길을 남겨달라는 주민 부탁을 거절하자 마을 사람들이 간이 상수도를 끊어 '보복'한 경우가 있다"며 "상가, 전원주택 단지가 늘어나면서 '땅'을 둘러싼 갈등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충돌'은 일대 어디에서나 쉽게 마주할 수 있다.

주민들은 도시인들의 개인주의에 혀를 차고 있다. 한 농민은 "전원주택에선 잠만 자고 마을 사람과는 일절 어울리지 않아 농촌 풍경을 흐려놓고 있다"며 "경운기 소리가 시끄럽다고 인근 경찰서에 신고하는 몰지각한 사람도 있다"고 했다.

반면 도시인들은 "농촌 인심이 왜 이리 각박해졌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지난해 상가를 낸 김모씨는 "국도와 상가를 연결하는 황무지에 한 평 넓이의 도로 포장을 하려는데 원주민들이 크게 반대했다"며 "포장을 하려면 반드시 땅값을 지불해야 한다고 해 당황했다"고 말했다.

인근 상가 주인은 "함께 편하자는 것인데 너무한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일대 땅값이 뛰면서 농촌 사람들도 달라지는 것 같다"고 했다. 팔공산 기성리 일대도 사정은 마찬가지. 90년대 말 이후 지금까지 전원주택 80가구가 입주했지만 주민과의 관계가 원만한 것만은 아니다.

주민들은 "새벽에 일 나가는 농민들은 체육복 입고 조깅하는 전원주택 주민과 마주칠 때마다 위화감을 느끼고 있다"며 "전원주택을 방문한 친구, 친지들이 남의 밭에 마구 들어와 농작물을 캐 가면 괘씸해서 견딜 수가 없다"고 했다. 그러나 한 전원주택 주민은 "주민들이 무조건 터줏대감 행사부터 하고 보는데 지쳤다"며 "막걸리 신고식이나 경로당 찬조금을 요구하면 강한 거부감이 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