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알려진곳 숨은 이야기-안동 풍천 병산서원 뒷간

달팽이 모양 요런 해우소 봤소?

거참 희한하게도 생겼다.

나즈막한 진흙 돌담이 달팽이 모양으로 꼬인 모습이 곳간이라 할 수도 없고 움막은 더더욱 아니고, 도대체 뭣이더란 말인가.

다가가 자세히 살펴보니 용변 보는 '뒷간' 이다.

높이는 어른 키에 조금 모자라는 정도. 두께는 두 뼘, 길이는 약 4m 되는 진흙 돌담을 시작 부분이 끝 부분에 가리도록 둥글게 감아 세워 놓은 외형이다.

지붕은 없다.

서애 류성룡 선생이 후학을 양성했고 사후에 선생의 위패를 모신 안동시 풍천면 병산서원 주사(廚舍) 앞마당 한쪽에 자리잡은 이 건물은 위에서 내려다보면 흡사 뱀이 또아리를 튼 모양이다.

바닥에는 용변을 담는 옹기를 묻고 그 턱 위에다 송판으로 짠 발판을 올려놓았다

용변이 차면 퍼내는 '푸세식', 아련한 향수를 자아내는 재래식 전통 뒷간이다.

이 뒷간은 흔하지 않은 형상에 걸맞게 문화재로 지정돼 있다.

병산서원의 부속 건물에 포함돼 지난 1977년 사적 제260호로 지정됐고 지난 2003년 보수작업이 이뤄져 원형을 지키고 있다.

병산서원 전담 관리자인 류시석씨에 따르면 이 뒷간은 370여 년 전 서원건물과 함께 지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병산서원 울타리 안에는 나무기둥에 기와를 이은 번듯한 또 하나의 뒷간이 있다.

양반(유생)들이 사용하던 것이다.

반면 울타리 밖, 하늘 열린 허름한 '달팽이 뒷간'은 유생들의 뒷바라지를 하던 일꾼들의 것이라 한다.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3편-병산서원 가는 길'에서 이 뒷간을 소개하며 '머슴 뒷간'이라고 적기도 했다.

그럼 왜 달팽이 형상으로 지은 것일까? 안동대 민속학과 배영동 교수는 "문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뒷간 내부에서 용변을 보는 사람의 모습이 외부에 드러나지 않게 하는 은폐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즉 출입구 쪽 돌담을 타원형으로 구부려 놓으면 입구 정면을 쳐다봐도 내부가 바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내부에 사람이 있는데도 보이지 않아 다른 사람이 불쑥 들어갈 경우가 있는데 어떻게 이런 낭패를 피했을까. 배 교수는 뒷간에 들어가려는 사람이 구부러진 입구의 작은 공간에 잠시 멈춰 서 헛기침을 하고 내부에서 응대하는 헛기침이 있으면 사람이 있는 것으로 알아차리고 맞닥뜨리는 것을 피해갔다는 흥미로운 풀이를 전했다.

배 교수는 이런 양식의 뒷간은 조선시대에 지어졌던 서민형으로 지금은 대전 등 일부 지역에 극소수만 남아 있어 당시 생활사를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 말에서 뒷간을 가리키는 단어는 정말 다양하다.

서각(西閣), 정방(淨房), 측실(厠室), 측옥(厠屋), 측소(厠所), 모측(茅厠), 회치장(灰治粧), 세수간(洗手間), 해우실(解憂室) 등등.

변소(便所)는 일제강점기에 쓴 말이고 화장실은 'dressing-room'을 번역한 표현이다.

뒷간에 측(厠)자를 붙인 것은 집 한쪽 구석에 있기 때문이며, 모측은 짚으로 엮어 간단히 만든 것, 해우실은 근심 푸는 방 이라는 뜻. 또 정방과 청측은 뒷간이 더러운 곳이기에 깨끗이 해야 한다는 반어적 의미의 표현이라 한다.

병산서원의 '달팽이 뒷간'은 화장실이란 예쁘고 세련된 듯한 단어에 덮여 버린 우리 전통의 뒷간을 다시 한번 떠올리게 하는 '추억의 존재'임이 분명했다.

안동·정경구기자 jkgoo@imaeil.com사진: 안동 병산서원에는 조선시대에 건립된 지붕과 문이 없는 달팽이 모양'머슴 뒷간'이 보존돼 이채롭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