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권력구조 공론화' 적극 지지

열린우리당은 5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공개서신을 통해 권력구조와 정치풍토 '정상화'를 위한 공론화를 촉구한 데 대해"바람직한 문제제기"라며 적극적인 지지의사를 표명했다.

여소야대 구도하에서 만연화된 야당의 무차별한 정치공세와 '발목잡기' 관행을깨지 않고서는 정상적인 국정운영이 어렵다는 인식 하에 노 대통령의 이번 문제제기가 정치문화를 뿌리부터 뒤바꾸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주류를 이뤘다.

우리당 전병헌(田炳憲)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대한민국의 모순된 정치현실을변화시키고자 하는 정당한 인식이자 문제제기인 만큼 생산적인 정치문화를 만드는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전 대변인은 "국정운영에 책임을 진 대통령이 국회 여소야대 상황 하에서 부딪힌 국정운영 추진의 한계와 같은 절실한 체험에 기반한 문제제기를 했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정치풍토에서 야당은 지극히 행정적인 문제마저도 정치쟁점화해 반대를위한 반대를 하는 풍토가 관행화 돼왔다"고 주장했다.

전 대변인은 "야당의 국정 발목잡기가 관행적으로 이뤄지는 것은 국정운영은 물론 국민에게 도움이 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정치권이 국민에게 불신을 받는 주요원인이 돼왔다"고 말했다.

문희상(文喜相) 의장은 이날 오후 기자간담회를 갖고 "현 정치문화에서 여소야대라는 것은 정국을 안정시키는데 전혀 도움이 안되고 대통령의 국가경영에도 도움안된다"며 "대통령으로서는 이 같은 정치문화의 문제점을 지적한 것"이라고 말했다.

문 의장은 이어 "결국 정치문화를 바꿔보자는 것으로 학계와 정치권, 언론이 논의해 보라는 의미"이라며 "야당이 윤광웅(尹光雄) 국방장관 해임건의안을 들고 나온이후 대통령이 고민을 한 끝에 문제제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친노'(親盧) 성향의 모임인 국민참여연대(국참연)도 성명을 내고 "대통령의 깊은 고뇌와 제안을 적극 지지한다"고 밝히고 "대통령의 어깨에 걸쳐진 국민의 기대수준과 실제 국정운영의 틀 안에서 대통령이 행사할 수 있는 역할과 힘이 균형점을찾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참연은 "민주주의 원칙을 위배하지 않으면서 국정운영의 효율성을 담보하기위한 건설적인 대안 마련을 위한 소통의 장이 필요하다"며 노 대통령의 문제제기를비판하고 있는 야당에 대해 "국정운영의 틀에 대한 대통령의 깊은 고뇌를 야합이라몰아붙이는 태도는 어디에서도 인정받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