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임종덕(林鍾悳) 연구교수는 경북 포항의 신생대 마이오세 지층에서 돌고래 화석을 발견했다고 6일 밝혔다.
신생대 마이오세 지층은 1천300만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국내에서 돌고래의 화석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임 교수는 "이번에 돌고래 화석이 발견됨에 따라 한반도에 다양한 종류의 돌고래가 살았다는 사실이 입증됐다"면서 "이 돌고래 화석은 켄트리오돈트(Kentriodonti dae)과에 속하는 돌고래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켄트리오돈트과에 속하는 돌고래는 이미 지구상에서 멸종됐다. 주로 신생대 올리고세와 마이오세에 걸쳐 살았으며 몸 전체의 길이가 약 2m 정도로 비교적 작은 돌고래에 속한다.
켄트리오돈트과는 현재 미국, 독일, 이탈리아, 스위스, 호주, 페루, 일본에서 발견되고 있다.임 교수가 발견한 돌고래 화석은 두개골 가운데 상악(위턱 )의 일부분으로 8개의 이가 완벽하게 보존돼 있다. 이 돌고래 화석은 강원도 동해시 동해고래화석박물관에 전시돼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
(연합)
사진: 서울대 임종덕 교수가 발견한 1천300만 년 전 돌고래 화석. 돌고래 위턱으로 한반도가 돌고래의 서석지였음을 입증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