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주·민노 몸값 올리기-연정구상에 따른 각당 셈법

노무현 대통령의 연정(聯政) 구상에 대해 각 당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대통령의 갑작스런 연정 발언에 한때 우왕좌왕하던 열린우리당은 5일 노 대통령의 공개서한이 공개되자 "바람직한 문제제기"라며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연정은 인위적 여대(與大) 만들기"라고 반발하면서 상황 전개를 예의 주시하고 있고 민주당과 민노당은 은근히 몸값 올리기를 시도하고 있다.

노 대통령 연정 구상의 파트너로 지목된 민주당은 당연히 '고자세'다. 연정 발언이 공개된 후 정치권에서는 즉각 '최인기 총리설' '추미애 입각설' 등이 나왔다. 호남에서 민주당 지지도가 열린우리당을 이미 추월했고 '여당의원 탈당설' '고건 신당설' 등 여권이 민주당에 손을 내밀 수밖에 없는 상황을 반영한 것. 당 핵심관계자는 연정 구상의 시발점으로 "여당 내부의 융화되지 못하는 흐름"을 지목해 여당의 호남출신 의원들의 동요에 주목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일단 원내교섭단체 완화 요구 등으로 한껏 몸값을 높일 태세다. 연정과 관련해서는 "왈가왈부할 게 아니다"며 아예 언급을 회피했다. 내년 지방선거 이후 몸값이 천정부지로 뛸 것이 분명한데 섣불리 움직여서 득볼 것이 없다는 판단이다.

민노당은 여권에 대해 구체적 제안을 하는 등 적극적으로 돌아선 것 같다. 노회찬 의원은 한 인터뷰에서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국보법 폐지, 비정규직 폐지에 대해 여당이 양보한다면 연대나 연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소위 '코드'면에서는 노 대통령과 가깝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별로 손해볼 것이 없다고 판단한 듯하다. 하지만 지난달 30일 윤광웅 국방장관 해임안 처리 때 여당에 협조하는 바람에 '빅딜설'까지 낳았던 전례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연정=야합'이라면서도 연정의 현실화에 따른 득실계산에 들어갔다. 일부에서는 노 대통령의 연정구상이 현실화되더라도 한나라당으로서는 손해볼 것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보수세력의 결집도가 높아져 한나라당이 중심에 설 수 있다는 것. 하지만 노 대통령의 연정 구상이 '지역'과 '이념'을 결합한 형태로 전개될 경우 정치적 고립도 피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이래저래 고민이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