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모와 술수로 점철된 조선왕조. 권력을 둘러싼 암투는 수많은 독살설을 낳았다. 신하들이 공개적으로 왕을 갈아치우는 방법이 반정(反正)이었다면 신하들이 기득권 유지를 위해 은밀히 왕을 갈아치우는 방법은 '독살'이었다.
'반정'과 '독살'은 둘 다 신하들이 임금을 선택한 결과라는 점에서 동전의 양면이다. 물론 독살에 대한 확증은 없다. 독살이후 정권을 잡은 것은 그 독살로 인해 혜택을 누린 집단이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왕권이 유달리 약해진 조선왕조 후반, 독살설은 끊임없이 나라를 뒤흔들었다. 조선왕조 518년간 배출된 왕은 27명. 그 중에는 인종·예종·선조·효종·현종·경종·정조·고종 등 8명이 독살설에 휘말렸다. 여기에다 살아있었다면 역사의 흐름을 바꿨을지도 모를 소현세자까지 포함하면 9명이 독살설에 휘말려 있다.
이들은 대부분 반대 세력과의 정치적 긴장이 극에 이르렀을 때 급서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많은 경우 정적들이 임종을 지켰다. 고종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고종은 청(淸)으로의 망명을 앞두고 급서했다. 고종의 임종을 지킨 것은 유감스럽게도 조선총독부의 지시를 받은 이완용과 이기용, 두 친일파 뿐이었다.
역사가 늘 그러하듯 '그 때 그런 일이 생기지 않았더라면' 하는 가정을 남긴다. 정조가 급서하지 않고 10년만 더 살았더라면, 그가 양성한 정약용 같은 인물들이 개혁정책을 계속할 수 있었더라면, 일찍이 서양문물을 습득하고 개방적 사고를 지녔던 소현세자가 정권을 잡아 일찌감치 문호를 개방했더라면, 만일 고종의 망명이 성공했더라면 그래서 망명정부라도 세웠더라면, 조선 역사는 다시 쓰여졌을 것이다. 나아가 대한민국의 역사도 달라졌을 것이다. 저자는 기존의 정사뿐만 아니라 야사까지 들추며 이들의 죽음을 둘러싼 수많은 의혹의 실체에 접근하고 있다.
정창룡기자 jc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