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재점화되는 중국내 反日정서..강경주문 잇따라

'동중국해' 가스전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외교분쟁이 재연되면서 중국내 반일(反日)정서가 고조되고 있다. 특히 과거사 문제로 누적됐던 감정이 이번 사태로 폭발하면서 '군사적 행동'을거론하는 '민중의 분노'로까지 이어지고 있어 향후 사태추이가 주목된다.

일본이 영유권 분쟁지역인 동중국해의 가스전 시굴권을 자국 기업에 허가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15일을 전후해 중국의 주요 인터넷 사이트에는 과거 '청일전쟁'의 역사를 들먹이면서 '전쟁 가능성'이 직접적으로 거론됐다.

한 네티즌(老婆)은 '전쟁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고, 또다른 네티즌(紅色傀儡)은 '항일전쟁'을 운운하며 분개했다. '함께 하늘을 할 수 없다'는 의견에서 '일본 제품 불매' 주문도 빠지지 않고 등장했다.

하지만 '일본과의 대충돌은 피해야 하고, 대화를 강화해야 한다'거나 '중국의군사력이 아직 일본에 미치지 않는다'며 현실을 직시하자는 주장도 있었다. 또 '정부의 외교력을 기대하자'는 의견도 더러 보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네티즌들은 '일본에 대한 강력한 응징'을 주장했고, 그 방법으로 군사적 대응을 상정했다. 일부의 신중론도 과거 중국이 패한 청일전쟁의 교훈을되살려 '한번 전쟁을 하면 반드시 이겨야 한다'는 논리로 이어지고 있다.

익명의 네티즌들의 의견은 공개적인 방법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중국 민간 댜오위타이보호연합회(民間保釣聯合會) 퉁쩡(童增) 회장은 일본이 '중립선'을 넘어서려 하고 있다며 정부측에 더 강경한 대일(對日) 외교적·군사적 대응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5일 전했다.

퉁 회장은 "일본은 교활한 나라여서 중국이 지금 유연한 자세를 갖고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중국은 영유권과 국제법을 지키기 위해 어떤 희생도 치를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렇지 않으면 일본이 앞으로도 계속 이같은 방식으로 한발씩 도발할 것이라는전망도 내놓았다.

그의 의견은 중국 '민중의 정서'를 대변하는 것으로 중국 현지소식통들은 전했다. 이런 분위기 때문인지 중국 정부의 행보도 강경하다. 추이톈카이(崔天凱) 중국 외교부 아주사(司) 사장은 15일 아쯔미 치히로(渥美千尋) 주중 일본대사관 정무공사를 외교부로 불러 일본의 행위는 "중국 주권과 이익에 대한 심각한 도발과 위반"이며 해양에 관한 유엔협약에도 위배된다고 쐐기를 박았다.

이에 앞서 중국 군당국은 동중국해 춘샤오 가스전 부근 해역에 대형 순시선 '하이쉰(海巡) 31호'(3천t급)를 파견, 해상 순시활동을 강화하기도 했다.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는 류젠차오(劉建超) 외교부 대변인도 일본에대해 동중국해의 안정과 중-일 관계를 해치는 행동을 하지 말라고 강력 촉구했다.

한마디로 중국 조야의 움직임은 이번 사태로 중일간 어떤 형태의 대치나 충돌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는 쪽이다. 특히 조만간 중국의 항일전쟁 승전기념일(8 월15일)이 다가오고 있어 중국내 반일정서는 높아만 갈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대만문제에 민감한 중국의 입장과 일본의 유엔 상임이사국 진출 가능성이 겹쳐지면서 중국의 반일정서는 고도의 전략적 변수로 활용될 수도 있다고 중국현지 외교소식통들은 전했다.

(상하이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