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방자치단체의 중앙정부에 대한 재정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짐에 따라 지자체들이 자체 투자를 위해 지방채를 많이 발행할 수 있도록 독려하기로 했다.
18일 기획예산처에 따르면 중앙정부의 채무는 지난해 196조1천억 원으로 지난 2001년의 113조1천억 원에 비해 73.4%나 늘어났다. 이에 비해 지방자치단체들의 지방채 발행규모는 지난해 16조9천억 원으로 2001년의 17조7천억 원에 비해 4.5%가 감소했다.
이처럼 지방채 발행이 저조한 것은 지방채가 '소모성 빚'이라는 인식이 강해 발행시 비판을 받을 가능성이 큰데다 선거를 많이 의식하는 지자체장들도 이 같은 분위기에 편승, 지방채 발행에 소극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방채를 발행하더라도 정부자금에서 차입하는 경향이 점점 강해져 지난 1994년 28.3%이던 정부 차입비율이 지난해에는 59.2%로 껑충 뛰었고 민간자금은 8% 수준에 불과했다. 지방채 발행이 저조해지면서 지자체의 예산 대비 채무비율도 17.1%에 불과해 이웃 일본의 157%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난다.
기획예산처 관계자는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지자체에 주는 교부세율이나 지방교육양여금을 올해부터 대폭 높여주었지만 지방에서는 계속 중앙정부에 손을 벌리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자체 투자를 위해 지방채를 적극 발행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