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사이트들이 네티즌의 흥미를 끌기 위해 기사의 제목을 바꾸는 편집권을 행사하고 있는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은 5, 6월 중 24일 동안 네이버와 네이트, 다음 등 포털 3사 메인화면의 '뉴스박스'에 게재된 기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85%의 기사 제목이 수정됐다고 19일 밝혔다.
민언련 이희완 인터넷정보관리 부장은 이날 민언련이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주관한 '올바른 포털 저널리즘 어떻게 만들 것인가'란 주제의 토론회에서 이러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희완 부장은 "포털 3사는 조사 대상 기사 4천659건 가운데 14.5%(677건)만 기사 제목을 수정하지 않았고 72.8%(3천394건)는 부분수정, 12.6%(588건)는 전면 수정했다"며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포털의 제목 바꾸기 사례를 보면 '김대업씨 명의 사과상자 한나라당에 전달'이란 제목이 '사과박스 장난하냐!'로 바뀌었으며 '초·중·고고생, 키·체중↑…체력·시력↓'이라는 제목은 '안경잡이 살찐학생↑'으로 수정됐다.
부분 수정된 사례는 '특별사면은 뇌물경제 살리기'란 제목이 '특별사면은 뇌물경제 되살리기…비판 높아'로 바뀌면서 단어가 추가되거나 '가로수 심었다, 잘랐다…줄줄 새는 예산'은 '가로수 잘못 심어 예산낭비'로 단어가 삭제됐으나 의미가 크게 다르지는 않았다.
이희완 부장은 "포털 측은 메인화면 '뉴스박스'가 제한된 공간이기에 제목이 긴 뉴스는 최대한 의미가 변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축약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제목이 크게 변질돼 전혀 다른 기사처럼 느껴지게 만들거나 흥미 유발, 선정적 제목으로 전면 수정하는 경우가 12.6%나 됐다"고 말했다.
특히 사진기사의 경우 제목이 동일한 기사는 12.1%인 반면 부분수정 71.5%, 전면수정 16.4% 등으로 더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공동 발제를 맡은 송경재 인천대 대학원 강사는 "포털 저널리즘이 언론 본연의 기능과는 다른 즉자적이고 연성화된 기사 공급 및 유통으로 저널리즘의 위기를 야기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사회적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도 그에 대한 책임에 대해서는 외면하고 감각적인 뉴스를 상업주의라는 잣대로 의제설정 기능을 행사해 언 론과 의제 설정의 왜곡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이러한 민언련의 조사결과를 인용, 포털의 메인뉴스의 편중성을 지적했다. 그는 "스포츠와 연예, 문화 관련 연성뉴스의 비중이 전체 뉴스의 45.2%에 달한다"며 "또 27.1%를 차지하는 사회 분야도 대부분 흥미 위주의 사건, 사고 기사가 많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압도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포털 저널리즘의 몇 가지 문제로 인해 발전적 가능성을 왜곡해서는 안 된다"며 "또한 실제 오프라인 매체의 뉴스제목 자체도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점을 감안한다면 기계적 비교에 그칠 수 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12년 간 가능했던 언어치료사 시험 불가 대법 판결…사이버대 학생들 어떡하나
한동훈 "이재명 혐의 잡스럽지만, 영향 크다…생중계해야"
[속보] 윤 대통령 "모든 게 제 불찰, 진심 어린 사과"
홍준표 "TK 행정통합 주민투표 요구…방해에 불과"
안동시민들 절박한 외침 "지역이 사라진다! 역사속으로 없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