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인터넷에 접속만 하면 3차원 영상으로 의사의 모습을 보며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기술이 상용화된다.
김은수 광운대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은 이같은 원격진료 서비스를 구현하는'웹기반 실시간 3D(3차원) 방송 시스템'(3DBSi)을 개발, 이미 자체 시연을 마쳤으며오는 9월까지 상용화 단계로 완성할 예정이라고 25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전용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설치한 뒤 모니터를 통해 뜨는 입체 영상을 전용 3D 안경을 통해 보는 방식으로 여기에 입체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면 상대방과 화상 대화가 가능하다.
기존의 인터넷망과 컴퓨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전용 안경과 비디오 카메라만 구입하면 되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한 것이 큰 장점이다.
실용화될 경우, 병원에 매번 가기가 불편한 노약자 등이 손쉽게 집에서 주치의와 대화하듯 진료를 받을 수 있어 그 효용이 클 전망이다. 기업간 3차원 화상 회의와 원격 면접 등으로도 상품 응용이 가능하다.
김 교수팀은 기술이 완성되면 국내외 특허를 출원하고 민간기업으로 기술을 이전해 본격적인 상품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