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 'X파일' 대응 강공선회 하나

국가정보원 전신인 안기부의 97년 대선과 관련한 '불법도청 X파일' 문제를 놓고 열린우리당의 대응기조가 신중 쪽에서 강공으로선회하려는 기류를 보이고 있다.

우리당은 'X파일' 사건이 불거진 이후 김영삼(金泳三) 정권 때의 불법도청 문제를 소재로 한나라당에 대한 공세를 펼쳐왔지만,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에 의해 발탁된 홍석현(洪錫炫) 주미대사가 이번 사건의 중심인물이라는 점 때문에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일부 언론이 97년 대선 당시 언론사 사장이었던 홍 대사가 기업과 정치인의 자금전달 통로 역할을 했다는 충격적인 내용을 상세히 보도하고, 홍 대사의 실명까지 공개한 뒤에는 당내 분위기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느낌이다.

여권이 심각한 비난여론을 감수하면서까지 홍 대사를 보호하는 것보다는 차라리홍 대사의 조기사퇴를 통해 이번 사건과 여권의 '연결고리'를 차단하는 한편, 이번사건을 한나라당과 삼성의 문제로 규정해 우리당의 상대적인 도덕적 우위를 부각시키자는 주장이 확산되는 것.

정세균(丁世均) 원내대표는 24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여권이 떳떳하든 말든진상을 규명하는 것이 역사발전을 위해 옳다"며 "만약 우리가 잘못했으면 책임을 지면 된다"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의 이같은 언급은 대목은 홍 대사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돼 주목된다.

문석호(文錫鎬) 제3정조위원장은 더욱 직접적으로 홍 대사의 책임론을 들고 나왔다.

문 위원장은 이날 영등포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정도까지 나왔으면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며 홍 대사의 자진사퇴론을 주장했다.

문 위원장은 또 "X 파일 사건은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고 강도 높게 다뤄야한다"며 "사건의 파장을 우려해 그대로 덮고 갔다가는 나중에 더 큰 문제가 될 수도있다"고 말했다.

문 위원장은 "우리당은 민주당 시절 2002년 대선자금을 발표했다가 몰매를 맞았다"며 "한나라당도 대선자금에 대해 고백해야 한다"고 한나라당을 압박했다.

전병헌(田炳憲) 대변인도 "X 파일의 본질은 삼성과 한나라당 후보 사이의 문제로 그 진상이 낱낱이 밝혀져야 한다"며 우리당이 이번 사건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강조했다.

전 대변인은 "한나라당의 전신인 군사독재 연장세력 신한국당이 정권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얼마나 발버둥쳤는지 보도된 일부 내용만으로도 알 수 있다"면서 "삼성과 한나라당의 거래 전모가 한 점 의혹없이 명확히 밝혀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