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평화적 핵 이용권'을 놓고 한'미간 극명한 견해차가 공개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로 말미암아 휴회중인 제4차 6자회담의 이 달 말 재개마저 우려되고 있다. 어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경수로를 짓는 것은 일반적인 권리로서 북한의 권리"라며 "북한이 평화 목적의 핵 이용권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그동안 미국은 조지 W 부시 대통령 마저 북한의 평화적 핵 이용 불허는 물론 모든 핵 프로그램의 포기를 요구해 왔다.
정 장관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각계에서 다시 북핵을 둘러싼 한'미간의 견해차가 노출된데 대해 걱정스런 움직임들을 보이자 정부는 외교부를 통해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고 핵무기비확산조약(NPT)에 복귀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 안전조치를 준수하면 평화적 핵 활동을 할 수 있다 것"이라고 다시 밝혔다. 이것은 미국도 허용하는 수준이다. 그렇다면 정 장관은 왜 북한의 평화적 핵 이용 입장을 두둔하는 발언으로 한미간의 이견이 있는 것처럼 비쳐지게 하는가.
미 국무부의 한 관계자는 "6자회담 진전에 큰 장애가 된 경수로 문제의 경우 (북한을 제외한)5개국 모두 그것은 애초부터 재고할 가치가 없는 것이라는데 의견일치가 이뤄졌다"고 했다. 물론 핵이 국제사회에서 인정될 만큼 평화적으로 이용한다면 어느 국가든 그 사용은 당연한 권리다. 그러나 북한은 영변의 실험용원자로를 군사용으로 전환해 플루토늄을 추출한 이력이 있다. 미국을 비롯해 국제사회는 이런 북한의 전력을 믿지 못하겠다는 것이다.
지금은 베이징에서 곧 재개될 6자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를 이끌어 낼 합의문 도출에 진력해야 한다. 이것은 북'미간의 신뢰회복 구조와 튼튼한 한'미간의 공조가 관건임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 아닌가. 지금 정부 당국자의 말 한마디가 엄청 중요한 시점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