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수성구 수성동 재개발 추진 지역 5층건물 지하 기름 보일러가 2일 오후 폭발, 5명이 숨지고 40여 명이 부상한 참사는 참으로 어이없고 원시적인 사고다. 뉴스 특보에 접하고 전국에서 친지들이 안부를 묻는 전화가 대구로 쇄도하는 현상은 '대구'가 '폭발의 도시'로 전락했다는 방증이 아닌가.
지하철 1호선 건설 당시의'상인동 가스 폭발 참사'에 이어 아직 그 후유증이 남아 있는 중앙지하상가 역 구내의 화재참사에다 지하철 2호선 신남네거리 붕괴로 인한 버스 추락 참사까지 겹친 그 악몽을 다시금 일깨워 줬기 때문에 이번 사고의 충격은 그만큼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이달 개통을 앞두고 최근 지하철 2호선 전동차 시운전 중에 일어난 화재까지 감안하면 도대체 어디에 근원적인 문제가 있는지 답답한 노릇이다.
이번 사고만 해도 그렇다. 지금 지하철 2호선 주변(고산~성서) 전지역은 역세권이라는 이점 때문에 재개발 열풍에 휩싸여 있다. 사고 지역의 5층 건물도 원주인은 이미 재개발 업체에 보상금을 받고 넘겼고, 세입자가 목욕탕을 운영하다 일어난 사고다. 이 대목에서 우리가 지적하고자 하는 건 해당 구청이나 시 당국이 이런 '사각 지대'에 놓여 있는 건물의 안전 관리에 조금만 더 신경을 썼더라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경찰이나 국립과학연구소가 정확한 화인을 조사해 봐야겠지만, 지금까지의 경찰 조사로는 사고 보일러의 안전 관리 부재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보일러 기사가 아예 없이 세입자가 직접 관리했다는 등의 설(說)이 나돌고 있다. 문제는 재개발 과정에서 이런 '사각 지대'에 놓인 건물이 수두룩한데 이에 대한 대책이 없었다는 데 있다.
이는 이런 사고가 언제, 어디에서 또 날지 모른다는 '불안'과 그에 대한 '철저한 대책'이 강구돼야 함을 동시에 웅변해 주고 있다. 이에 곁들여 앞으로 보상 문제을 둘러싼 문제도 그 후유증이 클 조짐이다. 원주인·세입자·재개발 업체간의 책임 소재도 불분명한 데다 관리·감독에 소홀한 행정 당국으로 그 불똥이 튈 개연성도 크다. 수성구청이나 대구시 당국은 먼저 제반 사고 수습을 원만히하고 안전 대책을 철저히 강구, 제발 안심하고 살 수 있는'대구'를 만드는 데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