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청와대 영수회담 후 한나라당은 박근혜 대표의 득과 실에 대한 이야기가 분분하다.노련한 노무현 대통령과의 설전을 무난히 치러냈다는 점에서 후한 평가가 나오는가 하면 연정론에 대한 대응논리 부족으로 노 대통령의 정치적 드라이브에 빌미를 제공한 것 아니냐는 비판론도 뒤따른다. 하지만 대체적인 당내 평가는 호의적이다.
우선 박 대표의 리더십에 대한 평가가 새로 제기되고 있다. 노 대통령과 대등하게 회담을 이끌어가면서 국정의 한 축을 이루는 야당 지도자로서의 이미지 메이킹에 성공했다는 것. 회담 전에 일부에서는 노 대통령의 '의외 제안'에 대한 박 대표 대응이 우려를 낳기도 했지만 의외로 차분하고 강단 있게 대응함으로써 유약한 이미지를 날려버렸다는 평가다.
박 대표를 늘 따라다니던 '콘텐츠 부족'이라는 비판도 상당 부분 불식한 것으로 평가된다. 평소 '수첩 공주'로 불린 만큼 이번 회담에서도 예의 그 수첩에 의존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많았지만 박 대표는 이날 일체의 자료도 없이 회담에 임했다.
노 대통령의 도발적 발언도 조목조목 받아넘기고, 노 대통령이 한나라당을 과거청산 대상으로 거론할 때는 "그런 당과 왜 연정을 하려느냐"며 반박하는 모습도 보였다. 더욱이 민생문제에 대해서는 구체적 수치까지 제시하면서 역공을 폈다.
이에 대해 한 측근의원은 "박 대표에 대한 점수를 매긴다면 A+를 줄 수도 있지만 A정도로는 평가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회담 후 평가가 박 대표에게 모두 호의적인 것만은 아니다. 노 대통령의 연정론을 매몰차게 거부할 수밖에 없는 속사정이 있다고 하더라도 좀 더 면밀한 대비책이 아쉬웠다는 비판이 뒤따른다.
김재원 의원은 "박 대표 개인적으로는 얻은 것이 많은 회담이라고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연정론을 거부함으로써 노 대통령이 또 다른 카드를 쓸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한 점은 아쉽다"고 말했다. 일례로 연정론을 거부하면서 행정구역 개편 문제를 꺼낸 것은 아무래도 '약발'이 약했다는 지적이다. 연정론을 제대로 차단하지 못해 노 대통령이 "(연정을) 안 받는다면 안 받는 대로 새 전략으로 나간다"는 빌미를 제공했다는 것이다.
또 연정거부의 명분으로 '민생'만을 강조한 것도 야당인 한나라당으로서는 부담이라는 지적도 있다. 민생현장 탐방 등으로 국민적 애로를 접하고 있지만 야당으로서 후속대책을 내놓는 것은 한계가 있어 역풍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