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입시 명문고' 서울대 입학생 비율 감소"

99년 특목고 비교내신 폐지가 최대 원인

최근 10년 간 서울대 합격자 중 소위 '입시 명문고' 출신자들의 비율이 줄어들고 입학생의 출신 고교가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14일 서울대 입학관리본부에 따르면 20명 이상 서울대 합격생을 낸 고교의 수는2004년 26개교에서 2005년 13개교로 줄었다.

또 10명 이상 합격생을 낸 고교의 수는 같은 기간 108개교에서 65개교로 줄어 ' 입시 명문' 고교들의 서울대 합격생 비중이 대폭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합격자수 기준 상위 20개교 출신자의 비율은 1996년 25.5%, 1997년 24.0%, 1998 년 23.8% 등이었으나 1999년에 16.9%로 대폭 하락한 데 이어 2000년 14.4%, 2001년14.2%, 2002년 14.7%, 2003년 14.1%, 2004년 15.3%, 2005년 15.2%로 줄었다.

이처럼 1999년을 기점으로 학교별 편중 현상이 대폭 줄어든 것은 특수목적고 학생들에 대한 비교내신 제도가 폐지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근 10년 간 학년도별 서울대 합격자 배출 고교 수는 1996년 584개, 1997년 62 7개, 1998년 672개, 1999년 678개, 2000년 698개, 2001년 702개, 2002년 729개, 200 3년 763개, 2004년 775개, 2005년 813개로 꾸준히 늘어왔다.

이에 따라 전국 일반계 고교 전체 수 대비 서울대 합격자 배출 고교 수의 비율은 1996년 54.7%, 1997년 57.7%, 1998년 59.9%, 1999년 59.0%, 2000년 59.1%, 2001 년 58.8%, 2002년 60.2%, 2003년 60.8%, 2004년 59.8%, 2005년 60.2%로 늘었다.

이종섭 입학관리본부장은 "다양한 출신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20 05학년도부터 지역균형선발제를 도입했으며 이는 교육 여건에 따른 지역별, 학교별편차를 완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