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現代 대북 사업, 투명한 시스템 돼야

김윤규 현대아산 부회장 일선 퇴진으로 표면화된 북한과 현대그룹 간의 갈등이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안개 속으로 빠져들고 있어 우려된다. 왕 회장의 아름다운 소떼 방북 이래 날로 확대돼 오던 대북 사업을 지켜보던 국민은 '혹시나'하던 조마조마함이 '역시나'로 나타나 가슴 졸이고 있다. 북한은 '자기네 사람'인 김 부회장의 복직을 요구했고,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은 그를 비리 경영인으로 지목하며 '김윤규 채널'을 통해야만 얻을 수 있는 '비굴한 이익'을 포기하고 '정직한 양심'에 따라 대북 사업을 새로 개척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최악의 경우 대북 사업을 포기할 수도 있다는 초강경 승부수도 마다하지 않았던 현 회장은 지금 혹독한 시련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북 사업의 독점권에 대한 대가로 5억 달러(2000년)를 지불한 현대그룹을 외면하고 롯데관광 측에 개성 관광 사업을 제의하는 북한으로부터는 뒤통수를 맞았고, 현 정부로부터는 그룹의 지주 회사인 현대엘리베이터에 대한 세무조사를 당하고 있다. 자신으로 인해 현대의 대북 사업이 통째로 흔들리고 있는데도 '고 정몽헌 회장의 아들'을 자칭하던 김 부회장은 미국에 머물며 꼼짝도 않고 있다.

온통 엉켜버린 듯한 이번 사태가 염려스럽기는 하지만 극복만 잘하면 대북 사업을 투명한 시스템으로 탈바꿈시킬 계기가 될 수도 있어서 일말의 희망을 갖게 한다. 늘 북한을 달래면서 그들의 요구를 들어줘야만 원만한 관계가 유지되는 퍼주기식 대북사업이라면 또 다른 형태의 난관이 언제나 도사릴 수밖에 없다. 국민의 세금이 들어가는 대북 사업은 이번 사태를 교훈 삼아 한 단계 더 성숙해야 하며, 남북 경협의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는 출발선이 돼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