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화장품의 용기에 제품의 사용기한과 모든 성분명이 표시되고 프탈레이트, 사람의 태반 등 안전성 의심 물질의 사용이 금지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소비자의 보호와 알권리 충족을 위해 화장품 원료에 대한관리를 강화하고 표시기준을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하는 방향으로 화장품법 개정을추진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이에 따라 레티놀, 아스코르빈산 등 5개 성분 함유 제품에 대해서만 사용기한을용기와 포장에 나타내도록 한 현행 규정을 바꿔 앞으로는 모든 제품에 사용기한이명기된다.
또 보존제, 타르색소 등 특정 성분만을 용기와 포장에 표시하도록 한 현행 성분표시 규정이 모든 성분을 기재하는 '전(全)성분표시제'로 확대된다.
이와 함께 생식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디부틸프탈레이트(DBP)와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성분은 사용이 금지되고 원료에 대한 규격기준이 확립돼있지 않아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는 사람의 태반 유래 물질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아울러 케노코나졸, 메탄올, 콜타르, 파라페닐렌디아민 등 안전성 우려 성분도사용이 금지되고 발암 가능성이 우려되는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는 잔존허용기준량이 설정된다. 식약청은 필요할 경우 공청회 등 여론 수렴 절차를 거쳐 늦어도 내년 1월부터는화장품법 개정안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