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9월23일 성매매특별법 시행 이후 성매매집결지와 종업원 수는 크게 줄었으나 30∼40대 성 매수 남성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20일 경찰청이 성매매특별법(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시행 1년간 단속 결과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성매매집결지 업소는 법 시행 이전 1천679개에서 1천61개(15일 현재)로 36.8%가 줄었고 종업원 수는 5천567명에서 2천653명으로52.3% 감소했다.
이 기간 검거된 성매매 사범은 전년보다 16.2% 늘어난 1만6천260명이었고 이 가운데 성매매 업주와 성매수 남성은 1만1천474명으로 34.2% 늘어난 반면 성매매 여성은 29.4% 감소한 4천786명이었다.
성매매 피해여성 가운데 987명은 성매매특별법의 피해여성 보호규정에 근거해처벌이 면제됐다. 성매매 사범의 연령별 구성비를 보면 21∼30세는 법 시행 이전 35.5%에서 시행 후 32.8%로 감소한 반면 31∼40세는 28.9%에서 33.4%로, 41∼50세는 17.6%에서 18.4 %로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 구성비는 직장인은 41.7%에서 40.6%로 낮아졌지만 자영업자는 29.6%에서30.0%로, 전문직은 1.4%에서 2.1%로, 공무원도 0.4%에서 0.6%로 각각 늘어난 것으로집계됐다. 경찰청 관계자는 "대다수가 기혼자이고 경제적으로 안정된 30∼40대와 자영업자, 전문직의 비중이 높은 것은 왜곡된 성 접대 문화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법 시행 후 전체 범죄 중 성폭력범죄 비율은 0.73%로 2001년 이후 성폭력범죄비중과 큰 변화가 없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이와 별도로 경찰청이 올 7월4일부터 실시하고 있는 '100일 집중단속' 중간 분석결과를 보면 성매매 종사 기간에 따른 성매매 여성 1인당 평균 보유질환 수가 1 년 미만은 0.59개, 1∼2년 2.28개, 2∼3년 3.14개, 4∼5년 4.90개, 5년 이상 5.25개로 집계됐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유사성행위업소 여성종업원의 나이는 20∼24세가 52%, 2 5∼29세가 30.4%였으며, 학력은 고졸 36.4%, 고교중퇴 28%, 중졸 22.3%고 대학 재학이상은 6.1%로 조사됐다.
또 유사성행위 종사 여성의 직전 직업은 무직(31.2%), 학생(22.2%), 유흥주점(2 1.5%), 회사원(12.3%)이었고 성매매집결지 종사자는 3.7%로 집결지 여성이 유사성행위업소로 대거 유입됐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고 경찰은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