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내버스 임의 缺行 간과할 일 아니다

시내버스가 예사롭게 결행하는 일은 아무리 파업 만능 시대라 해도 결코 단순한 사건이 아니다. 시내버스가 '시민의 발'이라는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는 한 노사 어느 쪽의 이해에 의해서든 자의적인 결행은 있어서 안 된다.

지난 23일 시내 6개 노선을 운행하는 한 시내버스 회사 노조의 운행 중단 조치는 비록 일시적이었지만 비난받아 마땅하다. 애꿎은 이용 시민들이 겪은 불편과 어려움은 어디서 어떻게 보상받아야 하는가. 체임을 비롯한 사측의 잘못을 시정하기 위한 항의는 시민을 대상으로 할 것이 아니라 대구시와 노동부, 검경 등 책임 있는 기관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

내년 2월 시내버스 공영제가 실시된다. 막대한 시민 세금이 투입되는 일이다. 시내버스 노사는 공히 회사의 내실을 기하고 시민들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위해 노력해야 할 시기다. 어려움 속에서도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 공영제에 대한 시민들의 동의를 확대해 나가야 할 시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은 규모지만 임의 결행 사태가 초래된 데 대해 시민들은 유감스럽다. 시민들은 세금을 투입해서 안전 경영을 보장하는 공영제가 시행된 이후에도 이 같은 악습이 되풀이되지 않을까 불안하다. 돈 들이고 더 불편해지지 않는다는 보장은 있는가. 대구시는 답해야 한다.

시내버스의 일방적 운행 중단에 대구시가 취한 조치는 무엇인가. 공영제만 기다리는 파장 분위기를 대구시의 무사안일 행정으로 조장하고 있지는 않은가. 시내버스의 무단 결행은 주고객인 서민들, 특히 어린 학생들에게 큰 상처를 준다. 제 시간에 오지 않는 시내버스를 초조하게 기다리며 어린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며 무엇을 생각할 것인가. 임의 운행 중단에 대한 엄정한 대처가 필요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