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간의료원 어린이 무료 예방접종 내년부터 보건소서만 실시

복지부 보건소 기능 강화 예산 지원 중단

"내년부터 시민 불편 불가피"

만 12세까지의 어린이를 둔 가정에서는 올해 안으로 국가필수예방접종을 모두 마쳐야 할 것 같다. 대구시와 보건복지부가 시민 편의 증대와 어린이 예방접종률 향상을 위해 실시하는 민간의료원 예방접종 비용 전액 지원 시범사업이 올해말까지만 시행되기 때문. 대구시와 복지부는 보건소에서만 무료 예방접종을 하던 방식에서 탈피, 민간의료원에서 받은 예방 접종 비용을 예산으로 상환해주는 시범 사업을 지난 7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예방접종 종류는 결핵, 일본뇌염, 홍역 등 11가지 질병, 8개 백신이며 대구시의 경우 만 12세까지 어린이 12만여 명이 접종 대상이다. 예산은 보건복지부와 지자체가 각 50%를 부담한다. 대구시는 올해까지 실시되는 시범 사업에 총 51억 원의 예산(국비 포함)을 투입할 계획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시범 사업은 당초 1년간 실시된 후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보건복지부가 보건소 기능 강화 후 보건소에서만 무료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안을 내년부터 1년간 시범적으로 도입하기로 방향을 전환함에 따라 시범 사업이 올해 말 조기 종료되게 됐다. 보건복지부는 지자체 신청을 받아 1년간 보건소에서 무료 예방접종을 실시한 후 현행 방안과 비교 검토, 최종 방안을 선택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보건소에서만 무료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것은 기존에 해 오던 방식으로 예방접종률이 현저히 떨어져 효율성이 없다고 판단, 보건복지부에 보건소 무료 예방접종 시범사업 신청을 하지 않기로 했다. 보건소에서 예방 접종의 30%를 담당하고 민간의료원에서 50%를 차지하고 있는 현실에서는 민간의료원 예방 접종 지원 사업이 예방접종률을 높일 수 있는 더 합리적 대안이라는 것.

그러나 열악한 재정 여건으로 인해 대구시 자체 예산으로 민간의료원 예방 접종 지원 사업을 시행 할 수도 없는 실정이어서 내년부터는 시민들의 불편만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경달기자 saran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