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가채무 어떻게 되나

정부는 내년에 세수부족이 상당한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9조 원의 적자국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이는 올해 적자국채 발행액 9조8천억 원보다 적은 것으로 일반회계 대비 적자국채 비중도 7.2%에서 6.2%로 낮아지지만 국채발행에 따른 국가채무는 올해 말 248조1천억 원에서 내년에 270조9천억 원으로 늘어나는데 이어 △2007년 298조5천억 원 △2008년 314조1천억 원 △2009년 325조8천억 원 등으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재정건전성이 심각한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있다는 신호다.

이에 대해 정부는 국가채무는 늘어나지만 재정건전성을 판단하는 기준인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국제기준(EU 마스트리히트 조약-GDP대비 60% 이내) 이내에 있는 데다 내년에 31.9%로 정점에 이른 뒤 2007년 31.7%, 2008년 31.1%, 30.8%로 점차 낮아지기 때문에 크게 우려할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오는 2009년까지 성장동력 확충, 저출산 해소, 사회안전망 구축, 남북협력 등 막대한 재원이 필요한 사업이 추가될 가능성이 있는 데다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4%(내년 3.8%)로 떨어지고 있어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특히 잠재성장률이 둔화될 경우 세수부족의 장기화는 피할 수 없게 돼 빚(국채)을 내 빚을 갚는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도 이 같은 여러 가지 대형사업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재원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뾰족한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민간자본 활용 등 다각적인 재원대책을 검토하고 있으나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근본대책으로는 미흡한 수준이어서 재정의 중장기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서는 조세 또는 국채발행 등 전략적인 재원선택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채무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경훈기자 jgh031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