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체육, '더이상 도핑 안전지대 아니다'

한국 스포츠계도 더 이상 금지약물 복용 문제의 안전지대가 아니며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나라당 박찬숙 의원은 27일 국회 문광위의 대한체육회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대한체육회가 제출한 '약물복용 양성반응자 현황 및 조치내역'에 따르면 2003년 4명에 불과하던 약물 복용 관련 징계자가 올해는 8월 기준 무려 10명으로 늘어났다. 우리 체육계는 더 이상 약물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대한체육회가 박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3년엔 레슬링(선수1명, 지도자1명)과 보디빌딩(선수2명)에서 4명이 약물복용 양성 반응으로 각각 6개월-2년간 자격정지 처분을 받았고, 2004년엔 보디빌딩과 복싱에서 5명의 선수가 적발돼 징계를 당했다.

올해는 지난 7월 독일에서 열린 보디빌딩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한 국가대표 선수가 도핑검사 결과 양성 반응을 일으켜 2년간 자격정지의 징계를 당한 것을 비롯해 8월까지 보디빌딩, 펜싱, 태권도 등에서 무려 10명의 선수가 금지약물 복용과 관련해 처벌을 받았다.

같은 당의 이계진 의원은 1982년 출범한 프로야구의 예를 들어 "지난 24년간 한국야구위원회(KBO) 차원의 도핑검사가 단 한 차례도 실시된 적이 없다"며 프로선수들에 대한 도핑검사 의무화 규정 마련, 관련 예산확보 등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한편 대한체육회는 박찬숙 의원과 이계진 의원이 제시한 서울대 스포츠과학연구소의 '선수 폭력실태 조사 및 근절대책'에 대한 연구용역보고서 중 약물복용과 관련한 부분에 대해 "일반 및 대학생보다 초.고교생들에게서 수치가 더 높게 나왔다. 금지 약물인지, 복용이 허용된 일반 약물인지 구체적인 제시없이 이뤄진 조사라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해명했다.

올 1월부터 3월까지의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된 이 보고서에 따르면 선수들의 약물 복용 경험은 국가대표가 61.5%, 일반 선수가 70.2%에 달한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