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중앙도서관 '가족 책 만들기' 교육

창의력 듬뿍… "나도 작가 됐어요"

"책은 출판사에서나 만드는 것이라고요? 천만의 말씀!"

'책 만들기' 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그림을 그려 재미있는 팝업 책을 만들다 보면 창의력이 쑥쑥 자라나는 것은 물론 직접 만든 책을 통해 '나도 작가가 될 수 있다'는 자신감까지 자라나는 것. 책 만들기는 영국에서 '북아트'라는 이름으로 처음 시작됐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책 만들며 크는 학교'(www.makingbook.net) 등의 단체에서 도입해 몇 년 전부터 교육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가족과 함께하는 책 만들기

지난 23일 오전 11시 대구 중앙도서관 3층 강의실에서는 '가족'을 주제로 한 책 만들기 수업이 한창이었다. 재잘재잘 엄마와 아이가 떠드는 소리에 정신이 없을 지경.

"아빠 눈이 작긴 하지만 너무 조그맣게 그린 거 아냐? 조금 더 크게 그려주면 아빠가 더 좋아했을 텐데…." 엄마의 걱정에 준희(여·강북초2년)가 보기 좋게 맞받아친다. "아빠는 내가 만든 거라면 뭐든 다 좋아해. 아마 잘했다고 칭찬해주실 걸!"

언니 얼굴을 그린 상아(사대부초2년)는 반대로 언니 얼굴을 만화에 나오는 캐릭터처럼 양 갈래 머리에 큰 눈망울의 소녀로 예쁘게 그려놔 엄마에게 사실과 너무 다르다고 핀잔을 들었다. 그래도 상아는 "눈이 작은 언니가 보면 좋아할 것"이라며 흡족한 표정이었다.

'가족 책 만들기'는 아이의 가족을 등장인물로 해 평소 하고 싶었던 말, 듣기 싫은 말, 즐거웠던 기억, 사랑하는 마음을 담아 만드는 책이다. 색연필과 파스텔, 사인펜으로 가족들의 얼굴을 솜씨껏 그린 뒤 종이를 반으로 접어 모서리를 잘라 코와 입이 봉긋 솟아나게 팝업을 만들면 간단하게 완성된다.

이날 '가족과 함께하는 책 만들기' 행사에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과 학부모 40여 명이 참가해 2시간 만에 가족의 사랑을 담은 8쪽의 책 한 권씩을 가져갈 수 있었다.

△책 만들기는 종합 교육

한 권의 책이 만들어지기까지는 여러 사람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글을 쓰는 작가에서부터 화가, 디자이너, 편집자, 제작자, 인쇄사, 제본사 등 수많은 사람의 손을 거쳐야 비로소 한 권의 책이 세상에 나올 수 있는 것. 때문에 책 만들기 활동은 여러 분야의 작업을 두루 경험해 볼 수 있는 종합교육이 된다. 어떤 책을 만들 것인지 기획하고, 책의 내용을 써 넣고, 삽화를 그리고, 제목을 달아보는 활동을 통해 책과 친해지고 책 읽기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갑교(40) 중앙도서관 강사는 "이제까지 책은 읽기만 하는 것으로 인식돼 왔지만 직접 책을 만들다보면 책을 접하는 즐거움이 몇 배로 커질 수 있다"며 "간접 지식이 아니라 직접 경험하는 장으로 책을 활용하면 창의력 향상, 체계적 사고 정립 등 다양한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글쓰기를 힘들어하는 아이들에게는 책 만들기를 통해 두려움을 없애줄 수 있어 효과적이다. 이 강사는 "원고지를 주고 글을 쓰라면 연필만 깨물던 아이들도 직접 그림을 그리고 책을 만들어보라고 하면 쉽게 글쓰기를 시작한다"며 "삽화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그림책부터 시작해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다 보면 논리적인 구성력도 키워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어떻게 만들까

책 만들기를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일단 종이를 반으로 접는 것부터 책 만들기는 시작될 수 있다. 그림책을 본떠 비슷한 모양과 캐릭터의 책을 만들어볼 수도 있고, 책 속의 한 장면을 따와 자신만의 상상력으로 이야기를 이어나갈 수도 있다. 아이가 책 만들기를 어려워한다면 일단 흉내 내기와 신문, 잡지 등에서 오려붙이기를 통해 재구성하는 일부터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러 명이 공동 작업을 하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

이때 너무 잘 만들기를 강요하면 오히려 역효과를 낳는다. 솜씨가 부족하더라도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직접 만들도록 유도해 자기 힘으로 책을 만들어냈다는 성취감을 맛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굳이 그림책이나 이야기책에 얽매일 필요도 없다. 수학, 과학 등 배운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해보고 자신의 것으로 체득하는 데도 효과적이다.

이 강사는 "직접 기록하고 만들다 보면 아이들이 그 내용을 더 오래 기억하는 장점이 있다"며 "이야기가 있는 책에만 치중하지 말고 수학책, 과학 잡지, 미술 교과서 등 다양한 형태의 책을 구상해 볼 수 있다"고 했다.

한윤조기자 cgdrea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