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도심 곳곳 빈 점포 늘어난다-(下)대책은

'2030 끌어안기' 대구시·상인 함께 나서야

'곳곳에 빈 가게, 썰렁한 매장...'

대구의 중심상권이 찾아야 할 활로는 무엇인가. 전문가들은 상권의 테마화, 브랜드화를 통해 구매력있는 젊은층을 끌어들어야 한다고 했다. 성서, 시지 등 부도심 상권이 급속히 성장하는 상황에서 동성로, 중앙로 등 중심상권의 차별적인 개발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젊은층 유입'이 관건

주말 동성로에는 인파로 늘 혼잡하다. 자세히 보면 10대들의 외출은 여전하지만 20, 30대는 그리 많지 않다. 부도심으로 옮겨갔기 때문이다.

엑슨밀라노에서 대구역 방향으로 지하도 하나를 건너면 오후 8시만 되도 불꺼진 가게가 상당수다. 대구백화점 남쪽에는 로데오거리, 갤러리존 인근을 제외하면 밤 10시쯤에는 비슷한 상황이다. 갈수록 상권이 축소되는 듯한 모습이다.

대구경북연구원 홍철 원장은 "젊은이로 넘쳐나는 서울 강남역, 삼성역 상권의 경우 대중교통 이용자가 대다수인 점에 비춰 자가용을 이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고객이 줄어든다고 볼 수 없다"며 "'그곳에 가면 뭔가 있다'는 기대심리를 심어줄 수 있어야 하는게 우선"이라고 지적했다.

동성로상가번영회 차병국 회장은 "동성로를 주 소비층인 10대 청소년, 20~30대 청·장년들이 집결할 수 있는 '이벤트장'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서울 홍대앞은 벤치마킹의 대상"이라고 했다. 이때문에 대구시의 적극적인 정책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시가 상인들에게만 맡겨놓을게 아니라 볼거리, 놀거리를 확충하는데 앞장서야 한다는 것.

계명마케팅연구소 곽주완 소장도 "품목별, 연령별, 성별로 동성로 시장을 테마화해야 한다"며 "점포 수를 늘리는 물량위주의 정책이 아니라 지역상권의 패턴을 읽어내는 시 차원의 장기플랜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대구시 책임이 크다.

산격동 종합유통단지는 시의 대표적인 실패작(?)으로 꼽힌다. 단지내 대구디자이너클럽 경우 점포수가 지난 2000년 540개에서 출발, 올 초 70여개로 급감할 정도로 영세상인들의 고통이 컸다.

의류관사업협동조합 조영득 이사장은 "분양 당시 의류점 경력자가 10%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임대업자들이었다"면서 "시가 막연히 의류도매 유통점을 만든다는 구상만 있었을 뿐 상인 보호책이나 상가 활성화 전략에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일부에서는 지하철 2호선 개통을 목전에 두고도 입점률이 저조한 지하쇼핑가를 예로 들고 있다. 한 관계자는 "상점이 많다고 고객들의 발길이 몰리는 것은 아니다"며 "목적구매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시가 공공개발을 이유로 일만 잔뜩 벌여놓고 전혀 책임지지 않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금까지 시는 영세상인과 상가활성화를 위해 제대로 된 정책을 제대로 내놓은 적이 없다. 실태조사에 적극 나서 본 적도 없다.시와 중구청이 내년부터 2010년까지 '도심테마형 상점가 조성사업'을 추진중이지만 예산과 의지 부재로 상권활성화와는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인천시가 지난 5월부터 시 공무원, 의회 의원 등으로 '특위'를 구성, 낙후된 인천상권 활성화를 위해 대구, 부산, 대전 등지를 견학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종합유통단지 활성화 용역을 수행한 계명대 산업경영연구소 측은 "시가 섬유산업 진흥을 염두에 두고 종합유통단지, 패션어패럴밸리 등 대규모 사업을 벌이는 바람에 시민 생활·소비패턴 및 유통구조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면서 "성과위주의 사업을 서두르기보다는 바닥부터 점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기획탐사팀

박병선기자 lala@imaeil.com

최병고기자 cbg@msnet.co.kr

서상현기자 ssan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