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전원주택의 역사

대구·경북지역에서 전원주택에 대한 관심이 일기 시작한 때는 1980년 초부터다. 주말농장을 일부 도시 사람들이 구입한다는 이야기가 회자되면서 전원으로 눈을 돌리는 도시 사람들이 늘어났다.

88서울올림픽을 앞두고 부동산 투기가 극성을 부리자 정부에서는 '8·10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면서 모든 부동산의 거래는 군·구청에서 검인을 받아야 하고 농지(지목이 전, 답, 과수원)는 농지매매 증명원을 받은 사람에게만 매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외의 부동산거래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거래가 쉬운 시골집들의 경우 투자도 되고 주말주택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점 때문에 도시민들이 구입하면서 전원주택(촌집) 붐이 자연스럽게 일어났다.

1990년 중반부터 달성군 가창면 오리(양지마을)에는 기존 주택의 개조에서 벗어나 이주택지권을 이용한 새로운 주택의 신축이 이루어졌다. 또 국민소득 1만달러 시대를 앞두고 전원주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경산시 와촌면에는 '유창전원마을'이 전국에서도 가장 큰 규모로 건립돼 1998년 33가구가 입주했다. 집집마다 주문주택으로 지어졌고 지형에 맞는 정원을 각각 만든 후 전원주택단지를 분양함으로써 아파트의 편리성만 강조되는 획일적인 주택문화에 싫증을 느낀 시·도민들의 눈길을 끌었다. 그 후 동구 중대동의 '화성그린빌' 등이 건립되고 영천시 호당리에는 미국식 통나무주택 4가구가 동호인 주택으로 지어졌다. IMF외환위기 이후 주춤하던 전원주택은 1999년 청도 '문화마을', 칠곡 동명의 '팔공블루힐', 경산 상대온천입구 '프라임벨리'(37가구), 경산 와촌의 '2차 유창전원마을'이 완전 분양됨으로써 전원주택의 관심도 점차 높아졌다.

금융권에서 시작된 주5일 근무제가 점차 확대되면서 여유 시간을 전원에서 보낼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고 본다면 대구·경북지역에서 진정한 의미의 전원주택은 지금부터라고 보아도 될 것이다.

(부동산 평론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