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지도부가 '10·26 재선거 참패' 이틀만인 28일 전격 사퇴하면서 정국이 또다시 격랑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당은 동요하지 말라"고 당부한 지 하루 만에 여당 지도부가 일괄사퇴라는 '외통수'로 몰린 것은 당의 청와대에 대한 반감이 한꺼번에 표출된 탓이 컸다.
이날 열린 의원·중앙위원 연석회의에서 봇물이 터지듯 분출한 대(對) 청와대 성토는 예상을 훨씬 뛰어 넘었다. 침묵하고 있던 다수 의원들이 나서 "선거 패배의 1차적 책임은 노 대통령의 '연정론' 제안 때문", "더 이상 정치에 관여하지 말라", "내각 총사퇴" 등의 주장을 거침없이 제기했다. 그동안 문 의장에 대해 '예스맨'이라며 뒷말을 주고 받던 수준 이상이었다.
당의 한 핵심관계자는 '문 의장 등 상임중앙위원들이 사퇴를 결정하면서 청와대와 상의했느냐'는 질문에 "전화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고, 문 의장과 장영달(張永達) 상임중앙위원 등이 29일로 예정된 당·정·청 수뇌부 회의에 참석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도 당내 기류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당과 청와대의 '이상기류'가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시작에 불과한 듯하다. 정동영(鄭東泳) 통일, 김근태(金槿泰) 보건복지 장관의 당 복귀가 초읽기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문 의장 체제의 당 지도부가 잔류를 고집하면서 대선주자들의 조기 복귀에 반대했던 논리는 노 대통령의 레임덕 우려 때문이었다. 반대 논리로 이들의 복귀가 기정사실화되면 대통령의 당 장악력은 급속히 떨어지고, 당·청 갈등의 심화속에 레임덕이 가속화될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된다.
때이르긴 하지만, 여권 일각에서 "대선주자들이 복귀하면 대통령과 차별화의 목소리를 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하는 것도 이러한 관측을 뒷받침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최대변수는 노 대통령의 향후 정국구상이다. 당의 직격탄에 대한 청와대 측의 첫 비공식 반응은 "뭐가 잘못됐다는 것이냐"였다. 선거 패배를 노 대통령의 탓으로 돌리는데 대해서도 "대통령의 지지도(20%대)가 당 지지도(10%대)보다 높지 않으냐"는 반문이었다. 양측의 인식차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대목이다.
때문에 노 대통령이 당의 요구를 받아들여 청와대 내부 인적청산을 단행하거나, 당·청 갈등을 최소화시키는 쪽으로 방향을 잡을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오히려 '연정론'에 버금가는 메가톤급 제안으로 다시 한번 정국의 주도권을 잡아나갈 것이라는 관측이 더 많다. 노 대통령의 탈당과 거국 중립내각 구성, 조기개헌 공론화 등과 함께 남북 관계의 획기적 국면 전환 등이 '포스트 연정구상'으로 거론되고 있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