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영덕 왜 실패했나?

공무원·시의원 등 소극적 활동

방폐장 유치에 실패한 포항과 영덕은 일찌감치 패배를 인정하면서도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포항시는 유효투표율인 33%만 넘어서면 의외의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투표율 올리기에 힘썼고, 투표마감결과 80.2%라는 유치신청 4개 지역 중 최고의 투표율을 보여 개표도 하기 전부터 승리를 확신한 터라 아픔이 더 컸다.

■포항

포항이 4개 시·군 중 찬성률이 가장 낮게 나타나자 포항시는 "승리가 힘들겠다는 예상은 했었지만 이렇게까지 찬성률이 낮을 줄은 미처 몰랐다"며 곤혹스런 표정이 역력했다.

유치 찬성론자들은 포항의 완패 원인을 여러 가지로 분석하고 있다. 우선 방폐장 후보지가 포항의 마지막 청정지역으로 일컫는 죽장면 상옥리이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청정지역에 대한 애착이 '방폐장 유치=지역발전론'을 희석시켰다는 것이다. 또 정장식 포항시장을 비롯한 공무원과 국회의원, 의회의원, 찬성단체 등의 소극적인 활동도 패배 원인으로 손꼽힌다. 포항시국책사업유치위원회 양용주 위원장은 "영덕과 경주의 경우 시예산 이외 각종 후원금만 10억 원이 넘는데 반해 인구 50만인 포항은 그 4분 1에도 미치지 못했다"며 "다른 곳은 국회의원을 비롯한 의회 의원들이 똘똘 뭉쳐 유치활동에 앞장선 데 반해 포항은 말하기조차 부끄럽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또 다른 이유로는 전체 인구 중 외지인이 많고 토박이가 적어 결집력이 부족했다는 것과 농민 및 환경단체들의 적극적인 반대활동이 유치분위기를 반감시킨 것 등으로 거론되고 있다.

포항·임성남기자 snlim@msnet.co.kr

영덕 군민 16년간 정부 방침에 반대

'결정' 늦었고 반대측 勢 강해

■영덕

유권자가 3만7천536명으로 포항 등에 비해 10%선에 지나지 않는 데다 투표율이 80.2%로 4개 지역 중 가장 높았던 영덕의 탈락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우선 1989년부터 무려 16년에 걸쳐 방폐장을 반대해 온 군민 정서를 들 수 있다. 영덕은 1989년과 2003년 등 두 번에 걸쳐 정부의 방폐장 설치 방침에 대해 군민 전체가 일어나 격렬히 반대할 만큼 거부 반응이 강했다. 반대정서는 당초 영덕군이 지난 8월 유치신청에 앞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찬성 62.4% 반대 37.6%로 만만찮은 세를 보여줬다.

그러나 영덕군의 유치신청에 이어 군의회가 승인하면서 찬성 분위기는 급상승했지만 결국 벽을 극복하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특히 반대 측은 방폐장 유치시 영덕의 브랜드 하락을 집중 홍보하며 농어민층을 파고들었고 강구 시가지 대게 상인들과 어민, 송이 산주 등이 속속 반대 대열에 가세하면서 겉보기보다는 반대 뿌리가 훨씬 깊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출발이 다른 지역보다 늦었던 점도 악재로 작용했다. 경주와 포항, 군산이 일찌감치 유치를 선언하고 뛰었으나 영덕은 8월 말에야 유치를 결정, 군민들의 힘을 모으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영덕·최윤채기자 cy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