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섬유업계의 얼굴이 두꺼워도 보통 두꺼운 게 아니다. 낯부끄러운 줄도 모른다. 섬유업계는 어제 오후 대구상의에서 열린 김병준 대통령 정책실장과의 상공인 간담회에서 긴급 경영자금 3천억 원 지원을 요청했다고 한다. 아무리 섬유산업이 지역 특화산업이라고 해도 역성조차 들 수 없는 요구다.
섬유업계가 못 먹는 감이지만 한 번 찔러나 보자고 한 요구라면 당장 철회하는 게 마땅하다. 과거 섬유업계는 불황만 닥치면 정부에 대고 우는 시늉을 했고 정부는 젖을 주었다. 분수를 모르면 시대 흐름이라도 읽어야 한다. 이젠 운다고 젖 주는 시대가 아니다. 김 실장의 '지원 검토' 답변도 립 서비스에 불과하다.
지역 섬유산업이 왜 먹기도 버리기도 아까운 '닭갈비 뼈' 신세가 되었는가. 섬유업계가 자구 노력을 소홀히 했기 때문 아닌가. 전임 문희갑 시장이 김대중 정권이 준 선물 '밀라노 프로젝트'를 받아들여 섬유업계의 구조 고도화를 추진했을 당시 섬유업계는 무얼 했는가. 외환위기로 원-달러 환율이 오르자, 첨단 차별화 제품 생산과 구조조정은 외면하고 흥청망청하지 않았는가. 정부 지원을 요청하더라도 업계가 자구 노력을 먼저 시도하고 손을 내미는 게 순서다.
섬유업계가 계속 특혜만 바란다면 지역 섬유산업은 수출 효자 산업이었다는 연민마저 잃게 된다. 섬유산업에 발목 잡혀 지역 산업 구조 개편을 미루는 바람에 미래에 대구가 먹고 살 차세대 산업을 육성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사실을 섬유업계도 잘 알고 있을 게다. 섬유업계가 변신하지 않으면 섬유산업 구조조정을 위해 추진 중인 '섬유산업 구조 혁신 특별 법안'의 국회 통과도 어렵게 된다. 지역 섬유업계의 각성을 요구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