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부지를 확정하지 못해 2년 10개 월이나 표류하던 2·18 대구지하철 참사 희생자 추모사업이 시민안전 테마파크 건립으로 가닥을 잡은(본지 11월 22일자 1면 보도) 것은 대구의 난제 가운데 하나를 풀었다는 데서 의미가 깊다는 평가다.
이 같은 합의가 도출된 것은 희생자 유가족들이 대승적 차원에서 추모관, 위령탑 건립을 양보하고 조해녕 대구시장이 임기내 반드시 시민안전테마파크 공사에 착수하겠다는 의지가 맞물린 덕분으로 풀이되고 있다.
강병규 대구시 행정부시장과 윤석기 대구지하철참사 희생자대책위원회 위원장은 22일 오후3시 대구시청에서 2·18 추모사업 변경에 합의하고 합의문에 서명했다.
합의문 중 가장 중요한 사항은 그동안 시민안전 테마파크 건립에 걸림돌이 돼 온 추모관(유골)과 위령탑 건립을 제외하고 안전과 추모를 상징할 수 있는 조형물을 설치하기로 한 것. 윤 위원장은 "시민안전 테마파크가 묘역이 아닌 남녀 노소 누구나 찾아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시민들이 서로 화합하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가족들이 대승적 결단을 내렸다"고 말했다.
추모관, 위령탑 건립을 추모사업에서 제외키로 양 측이 합의함에 따라 시민안전테마파크 건립은 탄력을 받게 됐다. 강 부시장은 "유가족들이 양보를 해줌에 따라 내년 6월 착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합의문 서명 이후 조해녕 대구시장을 따로 만난 유가족들은 시민안전 테마파크를 하루 빨리 완공해 대형 참사 재발방지를 위한 참 교육장으로 활용해 주기를 당부했다. 이에 조 시장은 "결단을 내려준 유가족들에게 감사를 드린다"며 "결자해지(結者解之) 차원에서 시민안전 테마파크가 계획대로 건립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유가족들과 조 시장은 사고이후 쌓였던 불화와 앙금을 털어내자며 서로 손을 잡고, 포옹을 했다.
한편 대구 동구 용수동의 시유지 4천377평(연건평 1천700평)에 들어서는 시민안전 테마파크는 순수한 안전전시관으로 꾸며진다. 추모관이나 위령탑은 들어서지 않고 지하철 참사를 비롯한 각종 사고 희생자를 추모하고, 시민들의 안전을 상징하는 조형물만 설치된다.
대구시소방본부는 풍수해·산악·화재·지하철을 비롯한 각종 재난상황을 4D첨단영상장치를 활용해 관람객들이 자연스레 보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도록 시민안전 테마파크를 조성할 계획.
또 지하철안전전시관과 생활안전전시관, 재난역사전시관 등을 갖추게 되는데 내년 1월에 설계공모를 마친 후 6월 착공에 들어가 2007년 하반기 개관이 대구시의 방침. 사업비는 270억 원(국비 100억, 시비 100억, 국민성금 70억 원).
테마파크가 조성되면 매년 2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찾고 동화사와 갓바위, 방짜유기박물관 등의 관광 시설물과 연계해 팔공산 관광벨트를 형성할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함성웅 대구시 소방본부장은 "250만 시민의 숙원사업임을 명심해 훌륭한 시민안전 테마파크를 건립하겠다"며 "시민의 휴식처이자 지역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대현기자 sk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