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06 대학수능> '감금' 풀려난 출제위원단

2006학년도 수능 출제위원단 650여 명이 23일 제5교시 시험이 시작된 뒤 33일간의 감금생활에서 풀려난다. 경기 성남시 대한교과서㈜에 마련된 인쇄본부 요원 170여 명도 보름간의 합숙생활을 끝낸다. 출제위원단은 교사·교수 등 출제위원 292명, 검토위원 181명, 경찰·보안요원 등 지원인력을 포함해 모두 650여 명.

이들은 영화에서나 보듯 어느 날 갑자기 동료들에게 작별인사도 하지 못하고 차출된 뒤 담이 둘러쳐진 건물에 격리된 채 10월 22일부터 합숙해 왔다. 모든 일을 출제본부 내에서 자체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음식을 만들어줄 식당요원은 물론 전기기술자, 문제 편집 요원, 녹음테이프 제작 요원, 외곽을 지킬 보안요원, 경찰 등 지원인력 규모만 180명에 달한다.

그동안 외출은 꿈도 꿀 수 없었고 외부와 연락할 수 있는 전화, 인터넷, 우편, 팩시밀리 등도 사용할 수 없었다. 심지어 쓰레기도 수능시험이 끝날 때까지 외부로 반출하지 못한 채 쌓아뒀다. 출제위원들의 건강관리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의료진이 함께 합숙했고 러닝머신 등 운동기구와 소규모 트랙 등이 갖춰진 체력단련실도 운영됐다. 합숙생활의 가장 큰 고비는 출제를 마치고 문제를 인쇄본부에 넘긴 뒤 15일 정도.

문제를 낼 때는 바짝 긴장해 오히려 정신없이 지나가지만 출제를 끝내고 수능이 끝나는 날까지 하는 일 없이 외부와 단절된 채 지내다 보면 온갖 불만이 터져나온다는 것이다. 술을 마실 수 있게 해 달라, 수당을 올려 달라, 외출을 허용해 달라는 등 안 되는 줄 알면서도 각종 불평 불만이 쏟아져 나온다고 평가원 관계자는 전했다.

평가원 남명호 수능연구관리처장은 "문제지 보안을 위해 심지어 출제위원 존비속이 상(喪)을 당한 경우에만 경찰과 보안요원을 대동한 채 간단히 예를 올린 뒤 되돌아오도록 돼 있다"며 "수능 출제가 문제은행식으로 바뀌기 전까지는 어쩔 수 없이 합숙출제를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