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도권 공장 신·증설' 철회 지역의원 한자리에

여론 압박에 다급해져

지역 정치권이 수도권 공장 신·증설 허용 방침 철회를 촉구하기 위해 23일 모임을 갖고 조직적인 공동 대처에 나선 것은 정부 여당이 방침 철회를 원하는 지역 여론을 무시하고 당초 계획대로 강행할 의사를 거듭 피력하고 나서서다.

특히 22일 국회 산업자원위원회에서 결의안 채택이 사실상 물 건너가면서 의원들 마음은 다급해졌다. 때문에 안택수(대구 북을)·권오을(안동) 한나라당 시·도당 위원장은 산자위가 열리는 동안 해당 지역 의원들에게 일일이 연락을 했다.

지역민들의 '동참 압박'도 한몫했다. 이번 사태에 대해 지역 여론이 심상치 않게 돌아가면서 큰 부담을 느꼈다는 것. 대구·경북의 '여당'이 지역 최대 현안에 대해 '나 몰라라' 한다는 여론이 의원들을 압박한 것이다.

실제 지난 18일 구미에서 열린 대구·경북 범 시·도민 규탄대회에는 2만여 명의 대규모 인원이 참가하는 등 정부에 격앙된 감정을 숨기지 않고 있고, 지역 정치권의 '전면 투쟁'도 요구했다.

두 시·도당 위원장은 이날 모임에 앞서 "지방균형 발전이라는 참여정부의 모토도 지방선거를 겨냥한 즉흥적인 '표심' 정책에 무너지고 말았다"라며 한목소리로 정부 여당을 비판했다.

안 시당 위원장은 "구미가 망하면 대구도 큰 타격을 받기 때문에 대구 의원들도 구미 문제를 좌시할 수 없다"고 밝혔다. 권 도당 위원장은 "수도권 규제 완화에 대해 인식을 같이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모임을 갖는다"고 말했다.

또 김성조(구미갑) 의원은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대구·경북 의원들이 한목소리를 내고 단합된 모습을 보이는 것만으로도 정부는 압력으로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지역 의원들이 지역민들이 수긍할 만한 마땅한 대응 방안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아직 대구·경북의 일부 의원들은 반대 운동에 적극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개인적 소신으로 정부안에 찬성하고 있기 때문. 또 야당으로서 대응책을 내놓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대구·경북 의원들 고민이다. 하지만 안 시당 위원장과 권 도당 위원장은 "총리와 산자부 장관이 중동 5개국 순방을 마치고 돌아오는 대로 시행령 개정 중단을 촉구할 것"이라며 향후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