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혁신도시 입지 30일 최종 결정

동구·달성군 치열한 2파전

"대구 발전의 기폭제가 될 혁신도시는 어디로?"

대구시 혁신도시 입지선정위원회(위원장 홍철)가 30일 전체 회의를 열어 12개 대구 이전 공공기관들의 입지를 결정하기로 함에 따라 어느 후보지가 혁신도시를 유치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구이전 공공기관 노사의 수성구 이전 선호에도 불구하고 현재 동구와 달성군 2파전 양상이다. 두 후보지의 장단점을 비롯해 혁신도시 선정 관련 쟁점들을 짚어봤다.

△동구는'접근성'

동구의 후보지는 신서동을 비롯한 신서 택지개발지구 132만8천 평. 개발제한구역(조정가능지)인 이곳은 현재 한국토지공사가 지난해 10월부터 택지개발을 하고 있다.

동구청은 택지개발지구 가운데 50만 평을 혁신도시 중심지구로 조성한다는 구상. 여기에 이전 공공기관 및 관련 혁신주체, 혁신 지원센터, 산·학·연 교류시설 등이 들어서 혁신도시 전체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 나머지 지역에는 첨단 산업단지와 공동주택 및 전원주택, 연구개발지구, 스쿨 콤플렉스, 문화·레저시설 등을 조성한다는 복안.

이곳의 가장 큰 강점은 간선 교통망과의 접근성이 좋다는 것. KTX와 철도가 지나는 동대구역과 차량으로 10분 거리. 대구공제공항과도 10분, 김해국제공항과는 40분이면 된다는 것.

구청은 또한 대학 및 연구기관, 기업·산업인프라와의 연계성, 생활편의 및 문화시설 여건, 교육 및 의료, 공원 및 레저시설 여건 등이 좋다는 점을 장점으로 꼽고 있다. 개발 중인 택지개발 지구여서 혁신도시 조성이 쉽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땅값, 확장 가능성, 대구장기발전전략과 관련해서도 입지로 적합하다는 게 구청의 주장.

△달성군은'발전가능성'

달성군의 후보지는 테크노폴리스에 인접한 현풍·유가면의 123만 평. 달성군은 혁신도시를 비롯해 연구집적지구(110만 평), 첨단단지(54만 평) 등이 결합된 친환경 혁신 신도시를 건설하겠다는 목표다.

구체적으로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GIST)설립, 공공 및 대학·기업연구소 유치, 기초과학지원 연구원, 전력소재 연구지원센터 설립,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대구센터 유치 등이다.

달성군은 현풍·유가면의 최대 강점으로 연구·생산·교육기능이 어우러진 혁신클러스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친환경첨단 신도시의 전략적 조성에 따른 이익을 고루 누릴 수 있고 나아가 혁신도시와 테크노폴리스 등을 연계, 대구발전의 도약대로 삼을 수 있다는 것.

간선 교통망과의 접근성이 좋다는 점도 적극 강조하고 있다. 중부 내륙고속도로 개설로 1시간 내 행정중심 복합도시에 접근이 가능하고, 경부·88·구마·함양-울산 간 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 전국적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는 것. 또 대구국제공항과는 30분 거리, 김해국제공항과는 40분 거리이며 경부고속철도 동대구역(30분 내)과 김천역(40분 내)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는 주장.

△걸림돌은 없나.

신서 택지지구의 단점은 항공기 소음 및 기반시설 부족이란 분석. 또 지난 16일 입지선정위 회의에서는 택지개발지구 내 국민 임대주택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건설교통부 지침상 10평 대의 임대주택을 건설할 수밖에 없어 가용면적이 크게 줄고 혁신도시 이미지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 이에 대해 동구청은 "9천300호 건립시 국민 임대주택의 면적은 13만 평 정도이며 이는 택지지구 전체의 10%에 불과하다. 혁신도시 후보지 132만여 평 중 100만 평 이상을 혁신도시로 조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풍·유가면은 부족한 기반시설과 도심에서 떨어진 위치 등이 불리한 요소. 실제 한국가스공사 등 대구 이전 7개 공기업 노조는 24일 현풍·유가 이전에 반대했다. 이들은 "현풍·유가면은 교통망과 주거, 교육환경 등 모든 면에서 낙후돼 있다"며 "특히 이전 기관에는 영업 차원의 도심 접근성을 중시하는 산업진흥군 기관이 다수 포함돼 기관 종사자들이 가장 기피하는 지역"이라고 지적했다.

△수성 연호·대흥동은 어떻게 되나

건교부가 대구시에 그린벨트 내 혁신도시 입지는 불가하다고 통보를 해옴에 따라 수성구 연호·대흥동은 일단 혁신도시 입지 경쟁에서 배제된 상태.

그러나 12개 이전대상 공공기관 대표들이 수성구 이전을 고집함에 따라 다른 곳으로 입지가 결정된 뒤 적잖은 후유증이 예고된다. 이들은 지난 9일 8차 입지선정위에 참석해 수성구 이전을 강력요구한 데 이어 16일 또다시 대구를 방문, 9차 회의 뒤 자신들이 위촉한 위원 10명을 초청한 가운데 따로 모임을 갖고 "수성구 이전을 원한다"는 뜻을 전달했다.

7개 기관 노조들 역시 "수성구 연호·대흥동 일대의 그린벨트지역은 그린벨트의 당초 취지인 도시환경보호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않다"며 수성구를 선호했다.

일부에서는 공공기관들이 입지선정위원들로 하여금 수성구 연호·대흥동을 혁신도시 입지로 결정하도록 한 뒤 건교부와 '담판'을 벌일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분산배치론, 공공기관 및 거주지 분리론

12개 공공기관을 기능별·성격별로 재분류해 분산배치해야 한다는 정치권 일부 주장에 대해 대구시는 불가입장을 거듭 밝히고 있다.대구시는 넓은 부지가 필요한 중앙 119구조대를 제외한 다른 공공기관을 분산배치할 가능성은 없다며 30일 열리는 입지선정위 회의에서도 공공기관 입지를 한 곳으로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또 공공기관 입주지와 공공기관 근무자들의 거주지를 분리하는 방안과 관련, 대구시는 혁신도시가 2곳 이상으로 분산될 경우 한 곳만 국가로부터 지원 받을 수 있는 만큼 공공기관 이전 효과 극대화 차원에서 분산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이대현기자 sky@msnet.co.kr

사진: 혁신도시 후보지인 달성군 현풍'유가면 일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