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의료산업 및 바이오 장기산업을 주도할'황우석 바이오장기연구센터' 착공식이 8일 오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광교테크노밸리에서 열렸다.
착공식에는 당초 참석이 기대됐던 황우석 서울대 교수가 병원에 입원해 오지 못한 대신 황 교수 연구팀의 이병천 교수가 참석한 것을 비롯해 이호인 서울대 부총장등 학계, 연구기관, 기업 등에서 관계자 500여명이 참석했다.
황 교수의 연구를 지원한다는 의미로 황 교수의 이름을 넣은 이 연구센터는 경기도비 215억원과 국비 80억원 등 총 295억원이 투입돼 내년 12월께 광교테크노밸리내 5천여평 부지에 연면적 2천155평 규모로 완공될 예정이다.
연구센터에는 무균돼지 전단계인 SPF돼지 돈사, 무균돼지 돈사, 수술실, 연구실등이 마련되며 400-660두의 SPF 및 무균돼지가 관리된다. 황 교수 연구팀은 이 곳에서 인간에게 이식이 가능한 무균돼지의 장기를 생산, 연구하는 등 이종장기 상용화를 위한 핵심적인 연구활동을 하게 된다.
도(道)는 연구센터가 완공되면 ▲무균돼지 이종장기 생산기술 상용화로 장기이식 수급불균형 해소 ▲50조원의 난치질환자 치유비용 및 사회비용 절감 ▲고용유발및 관련산업 파급효과로 5만2천명 일자리 창출 ▲2012년 세계7대 바이오강국 및 세계시장점유율 7% 달성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황 교수 연구팀이 연구활동에 전념할수 있도록 센터 준공후 센터에 운영사업소를 설치, 연구지원팀과 관리팀 직원 27명을 파견하기로 하고 지난 5월 행정자치부에 기구 및 정원 승인을 신청했다.
이날 착공식에서 손학규 경기지사는 "황 교수와 연구팀을 탄압하는 것은 이들에대한 탄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연구를 통해 희귀 난치병 질환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을 짓밟는 몰상식한 행위"라며 "결코 이런 일이 용납돼서는 안되며 국민들이 궐기해서라도 황 교수와 연구팀을 해치는 사람들을 배격하고 격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병천 교수는 "이 곳에서 무균돼지를 이용해 사람에게 이식할 수 있는 장기를생산하게 된다"며 "수백억달러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바이오장기이식연구에 최선을다하겠다"고 말했다.
도는 지난해 7월21일 서울대에서 서울대 및 과학기술부와 바이오장기연구센터건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센터건립을 추진해왔으며 지난달 11일에는 두 기관과 연구센터 운영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