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07년 기후총회 한국유치 적극 검토"

이 환경 "이르면 내년 3월 정부방침 결정"

2007년 아시아권에서 열릴 예정인 제13차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를 우리나라가 유치하는 방안이 정부 차원에서 추진된다.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리고 있는 제1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및 제1차교토의정서 당사국 회의에 정부 수석대표로 참가중인 이재용 환경부 장관은 7일(한국시간 8일) 연합뉴스와 단독인터뷰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다자간(多者間) 환경협약 중 최대 규모로 전세계에서 1만명 이상이 참가하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를 우리나라가 유치할 경우 수천만달러의 직접적인 경제적효과는 물론 국가 이미지 및 위상제고 등 간접적인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정부내 일각에서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아직 기후변화협약 총회를 유치하기는 부담스럽다'는 주장도 있어 정부내 의견조율 과정이 주목된다.

이 장관은 인터뷰에서 "2012년 이후 기후변화협약체제가 어떤 형태로 합의되든온실가스 감축은 선진.개도국을 막론하고 추진해야 할 시대적 대세"라며 "따라서 우리나라도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적극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런 맥락에서 당사국 총회 유치도 본격적으로 검토해야 할 시기가 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제11차 당사국 총회를 마치고 귀국하면 정부와 산업계, 시민환경단체 등각계를 상대로 2007년 총회 유치를 위한 의견조율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르면 내년 3월 한국에서 열리는 '환경협력그룹(EIG)' 고위급 회의때까지, 늦어도 내년 5월 스위스에서 개최되는 EIG 환경장관회의까지는 정부의 최종방침이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내년에 아프리카에서 열리는 차기 총회는 세네갈이 유치를 신청했다고 이 장관은 전했다. 한편 이 장관은 이날 오후 제11차 당사국 총회 고위급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통해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올해부터 2007년까지 90개 과제에 200억달러를 투자하겠다는한국정부의 대책을 설명하고 각국의 협력과 개도국의 상황을 고려한 기후변화협약체제를 촉구했다.

이 장관은 앞서 캐나다 국제외교통상부 장관과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에 관한정보교류 등을 골자로 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데 이어 EIG 환경장관 회의에 참석,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EIG 참가국들의 입장을 조율했다.

몬트리올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