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당·청관계 TF' 관심

정부와 열린우리당이 당·청 갈등을 해소하고 발전적 관계를 정립하기 위한 '연구 태스크포스'(TF) 구성 논의에 착수키로 함에 따라 활동 방향과 논의 주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과 당 지도부는 11일 만찬 간담회에서 TF를 구성키로 합의한 데 이어 당은 13일 비상집행위원 회의를 열고 TF 참석 범위, 주제 등을 확정키로 하는 등 빠르게 TF 구성 논의를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TF는 청와대, 총리실, 당 출신 인사를 골고루 포진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전망이며 당 비상집행위원을 TF팀장으로 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TF에서는 청와대 내 정무전담 기구 부활, 당·청 주례회동 등 당청 간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합리적인 의견 조율을 이뤄낼 수 있도록 당·청 간 별도 기구와 모임을 구성하는 문제가 우선 논의될 전망이다.

특히 당내에서는 TF 논의 주제로 정무수석 부활을 꼽는 이가 많아 향후 논의 방향이 주목된다.제왕적 총재 시절엔 정무수석이 당을 지배하는 수단이었으나 현재의 상황에서는 그러한 우려가 없는 만큼 '당·청 윤활유' 역할의 정무수석 부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당·청 간 의사소통 활성화를 위해 당·청 주례회동, '12인 회의'로 상징되는 여권 수뇌부 회동 강화 등도 TF의 주요 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우리당 핵심 관계자는 "정무수석 부활, 주례회동 여부, 12인 회의 위상 등이 폭넓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한 뒤 "당의 위상과 역할을 총체적으로 검토하는 만큼 당·청관계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TF 구성을 위한 논의가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많다. 특히 당내 관심이 전당대회에 온통 쏠려 있는 데다, 대통령의 '탈당 언급' 파장이 확산되는 추세에서 TF 구성 논의가 탄력을 받기는 어려운 것 아니냐는 얘기다.현재의 당 지도부가 당을 대표할 수 있느냐는 것도 TF 구성 및 활동의 한계로 작용할 전망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