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으로 지난해 징계받은 학생은 5천808개학교 6천604명으로 집계됐다. 9일 교육인적자원부에 따르면 2005년 학교폭력으로 퇴학 91명, 출석정지 382명, 전학 410명, 학교 또는 사회봉사 4천659명, 서면사과·접촉금지·학급교체·심리치료 등 기타 1천62명 등의 조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징계자 수는 2001년 1만1천310명, 2002년 7천318명, 2003년 7천769명, 2004년 7 천488명, 2005년 6천604명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징계받은 학생을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생 103명, 중학생 4천92명, 고등학생이2천409명으로 초등학교나 고등학교에 비해 중학교의 학교폭력이 월등히 많았다.
그러나 퇴학자는 의무교육을 하는 초·중학교는 퇴학이 불가능해 한명도 없고고교에 91명이 몰려 있다. 경찰청에 지난해 집계된 학교폭력 피해학생을 학교급별로 나눠보면 중학생 60%, 고등학생 35%, 초등학생 3%로 학교폭력의 피해자로 중학생이 가장 많았다.
학교폭력 유형은 폭행이 53%, 금품갈취 46%, 협박 0.3% 순이었다. 학교폭력이 발생했을 때 법과 절차에 따라 처리하지 않은 학교장 2명이 직위해제되고 5명이 경고를 받았다.
교육부가 지난해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전국 초·중·고교생 1만3천900여명을대상으로 '학교폭력 및 불량서클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학교에 불량서클이 있다는응답은 5월 조사에서 14.4%였으나 12월 조사에서 4.7%로 감소했다.
불량서클 유형은 동년배나 또래 집단, 동네 친구들로 구성되는 '친구형', 탈퇴시 폭력을 행사하는 '선후배 위계형', 학교 및 지역을 기반으로 선후배 중심으로 구성되는 '학교 지역 연계형', 성인조직과 연계돼 높은 수준의 폭력을 행사하는 '성인연계형' 등 4개 유형으로 조사됐다.
교육부와 경찰청은 지난해 불량서클 자진신고 및 집중해체 기간을 운영, 모두 8 39개를 해체했으며, 732개 학교에 폐쇄회로TV(CCTV)를 설치했다. 교육부는 학교폭력 피해학생을 국가가 책임지고 치료 보호하기 위해 전국 국립대 및 시립병원 등 14곳에 법률·의료·상담을 지원하는 원스톱 시스템을 확대 운영키로 했다.
또 집단 따돌림, 언어폭력, 신체폭력, 사이버폭력 등 유형별 예방·대처 프로그램인 시우보우(視友保友) 동영상 10편을 제작, 배포하고 200개 교육청에 사이버 신고·상담망을 구축하고 배움터 지킴이 시범운영 학교를 10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올해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20일까지 전국 모든 초중고교 교장 및 전문직 1만2천555명을 대상으로 연수를 실시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